[한경·네이버 FARM] 자매 농부, 박가영·선영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의 사람들
고교 때까지 스노보드 선수, 졸업 하자마자 이태원 바텐더…스물다섯 지금은 허브 농장주인
디자이너 관두고 동생 따라 농부로…자매의 향긋한 도전
고교 때까지 스노보드 선수, 졸업 하자마자 이태원 바텐더…스물다섯 지금은 허브 농장주인
디자이너 관두고 동생 따라 농부로…자매의 향긋한 도전
2012년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스무 살 박가영 씨는 바텐더가 되기로 결심했다. 칵테일을 너무 좋아한 나머지 아예 진로를 그쪽으로 정했다. 그가 가장 좋아한 칵테일은 ‘모히토 가서 몰디브 마신다’는 그 모히토였다.
서울 이태원 인근의 한 칵테일바에서 바텐더로 일하던 그는 어느 날 아침 매장에 배송된 허브 꾸러미를 보고 깜짝 놀랐다. 믿을 만한 곳에서 주문했는데도 품질이 엉망이었다. 모히토 재료로 쓰이는 민트의 상태가 더 심각했다. “배송과정에서 허브가 많이 상한 것 같더라고요. 이런 민트로 모히토를 만들고 싶지 않았습니다. 우선 취미삼아 15평짜리 미니 텃밭을 꾸미고 허브를 심어봤어요. 그런데 그 텃밭이 점점 커지더니 제법 큰 농장이 되더라고요.”
지난달 경기 수원시 이목동에 있는 농부 5년차인 박씨의 허브 농장을 찾았다.
▶바텐더에서 허브 농부가 됐는데 답답하니까 직접 하겠다는 거였나.
“비슷하다. 허브는 딴 후 1~2주면 시든다.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품질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내가 직접 민트를 재배해서 유통단계 없이 바로 식당에 가져다 주면 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
▶농장 규모는 얼마나 되는지.
“수원 이목동에만 1000평(3305㎡) 정도의 농장이 있다. 지난해부터 경기 화성에 새로운 농장을 꾸리고 있다. 작년 말 하우스 한 동을 지었고, 이달 초에는 추가로 하우스 한 곳을 임차했다. 총 규모는 2000평이다. 주로 민트를 재배한다. 한국에서는 그나마 대중성이 있는 게 민트다. 그 외에는 로즈메리, 레몬버베나, 바질, 라벤더, 파인애플세이지 등 다양하다. 올해는 꽃을 좀 많이 심었다. 한련화를 비롯해 먹을 수 있는 꽃들이다. 작년부터 디자이너인 언니가 합류해 아버지, 어머니, 언니 그리고 아는 언니까지 총 5명이 일한다.”
▶허브를 화훼도매시장에서도 판매하나.
“우리 농장의 가장 큰 특징은 도매시장에 상품을 내놓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매시장에 물건을 내놓으면 유통 단계를 줄이기 어렵다. 허브의 생명은 신선도인데 여러 단계를 거치면 신선한 허브를 팔기 어렵다. 또 도매시장은 가격변동이 너무 심하다. 1만원은 받아야 되는 게 2000원도 안 되는 가격에 팔린다든지 하는 날이 있으면 아무리 열심히 일을 해도 돈을 못 번다.”
▶그럼 어떻게 판매하나.
“직거래한다. 주문을 받으면 배송하는 날 아침에 수확해 작은 트럭을 타고 오후에 배송한다. 경기권이 아닌 곳에서 주문이 들어오면 택배로 보낸다. ”
▶농부가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 있나.
“없었다. 고등학교 때까지는 알파인 스노보드 선수였다. 선수 경력을 살려 체육교사가 되는 게 꿈이었다. 그런데 부상도 당하고, 몸이 안 좋아져 포기했다. 그리고 바텐더가 됐다. 그때 배송 온 허브만 신선했어도 그냥 바텐더를 계속했을 것 같다.”
▶허브 농사를 희망하는 젊은 귀농인에게 해줄 조언은.
“재배도 중요하지만 판로가 더 중요하다. 취미로 작게 해보고 괜찮다 싶으면 규모를 조금씩 늘리는 식으로 접근해보면 어떨까 싶다.” (총 3200자 분량으로 지면 사정상 줄여 싣습니다)
수원=FARM 강진규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0988961758
서울 이태원 인근의 한 칵테일바에서 바텐더로 일하던 그는 어느 날 아침 매장에 배송된 허브 꾸러미를 보고 깜짝 놀랐다. 믿을 만한 곳에서 주문했는데도 품질이 엉망이었다. 모히토 재료로 쓰이는 민트의 상태가 더 심각했다. “배송과정에서 허브가 많이 상한 것 같더라고요. 이런 민트로 모히토를 만들고 싶지 않았습니다. 우선 취미삼아 15평짜리 미니 텃밭을 꾸미고 허브를 심어봤어요. 그런데 그 텃밭이 점점 커지더니 제법 큰 농장이 되더라고요.”
지난달 경기 수원시 이목동에 있는 농부 5년차인 박씨의 허브 농장을 찾았다.
▶바텐더에서 허브 농부가 됐는데 답답하니까 직접 하겠다는 거였나.
“비슷하다. 허브는 딴 후 1~2주면 시든다.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품질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내가 직접 민트를 재배해서 유통단계 없이 바로 식당에 가져다 주면 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
▶농장 규모는 얼마나 되는지.
“수원 이목동에만 1000평(3305㎡) 정도의 농장이 있다. 지난해부터 경기 화성에 새로운 농장을 꾸리고 있다. 작년 말 하우스 한 동을 지었고, 이달 초에는 추가로 하우스 한 곳을 임차했다. 총 규모는 2000평이다. 주로 민트를 재배한다. 한국에서는 그나마 대중성이 있는 게 민트다. 그 외에는 로즈메리, 레몬버베나, 바질, 라벤더, 파인애플세이지 등 다양하다. 올해는 꽃을 좀 많이 심었다. 한련화를 비롯해 먹을 수 있는 꽃들이다. 작년부터 디자이너인 언니가 합류해 아버지, 어머니, 언니 그리고 아는 언니까지 총 5명이 일한다.”
▶허브를 화훼도매시장에서도 판매하나.
“우리 농장의 가장 큰 특징은 도매시장에 상품을 내놓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매시장에 물건을 내놓으면 유통 단계를 줄이기 어렵다. 허브의 생명은 신선도인데 여러 단계를 거치면 신선한 허브를 팔기 어렵다. 또 도매시장은 가격변동이 너무 심하다. 1만원은 받아야 되는 게 2000원도 안 되는 가격에 팔린다든지 하는 날이 있으면 아무리 열심히 일을 해도 돈을 못 번다.”
▶그럼 어떻게 판매하나.
“직거래한다. 주문을 받으면 배송하는 날 아침에 수확해 작은 트럭을 타고 오후에 배송한다. 경기권이 아닌 곳에서 주문이 들어오면 택배로 보낸다. ”
▶농부가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 있나.
“없었다. 고등학교 때까지는 알파인 스노보드 선수였다. 선수 경력을 살려 체육교사가 되는 게 꿈이었다. 그런데 부상도 당하고, 몸이 안 좋아져 포기했다. 그리고 바텐더가 됐다. 그때 배송 온 허브만 신선했어도 그냥 바텐더를 계속했을 것 같다.”
▶허브 농사를 희망하는 젊은 귀농인에게 해줄 조언은.
“재배도 중요하지만 판로가 더 중요하다. 취미로 작게 해보고 괜찮다 싶으면 규모를 조금씩 늘리는 식으로 접근해보면 어떨까 싶다.” (총 3200자 분량으로 지면 사정상 줄여 싣습니다)
수원=FARM 강진규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0988961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