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핵심 보직인 서울중앙지검장과 법무부 검찰국장이 18일 사의를 밝히자 검찰이 크게 술렁이고 있다. 지난 15일 검찰총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퇴직한 여파가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수뇌부 두 명이 한 번에 사표를 내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어제 대통령의 감찰 지시가 사실 ‘그만두라’는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며 “법무부 수장 자리도 공석인데 검찰 최고위급 두 명이 한 번에 그만둬 큰 일”이라고 말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지난해 김현웅 전 법무부 장관이 사퇴해 법무부 장관직은 이창재 법무부 차관이 대행하고 있다. 검찰총장 자리도 김수남 전 총장 사퇴로 김주현 대검 차장이 임시로 맡고 있다. 서울지검장과 법무부 검찰국장은 모두 검사장급(차관)으로 검찰의 핵심 자리다.

하지만 법조계에서는 일부의 예상과 달리 검찰 간부들의 줄사퇴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수도권의 한 부장검사는 “보통 검찰 특유의 기수문화 때문에 승진에서 누락되거나 외부에서 검찰조직을 불합리하게 흔들 경우 검찰을 떠났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좀 다르다”고 말했다. 사표를 내면 ‘우병우 라인’ 또는 ‘적폐 세력’을 자인하는 게 돼 쉽게 그만둘 수 없다는 얘기다.

검찰의 관심사는 무엇보다 향후 인사다. 대통령이 법무부 장관, 검찰총장 등의 임명을 끝내면 다음달에 부장검사급 이상의 인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유력한 검찰총장 후보 두 명이 그만뒀고 소문대로 비(非)검찰 출신이 검찰총장으로 오면 검찰 간부급 인사의 폭이 상상을 초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주완/고윤상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