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신동 일대는 서울에 얼마 남지 않은 달동네 가운데 하나다. 10년 전 뉴타운으로 지정됐다가 주민들의 반대로 해제됐다. 2014년부터는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골목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봉제공장을 육성하고 주차장을 짓는 등 마을의 자생력 키우기와 주거환경 정비에 한창이다. 2014년 도시재생의 국가 선도사업으로 지정되면서 국비와 서울시비 200억원이 투입됐다.
창신동, 달동네 흔적 지우기…용산전자상가, 제조혁신기지로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은 서울시 모델이 중심이 될 전망이다. 서울시 도시재생의 기획자였던 김수현 전 서울연구원장이 청와대 사회수석에 임명된 까닭이다. 서울에 지정된 서울형 도시재생 지역은 모두 30곳이다. 지역 특성에 따라 성격은 조금씩 다르다. 세운상가나 용산전자상가, 마장동 일대처럼 도심지의 특정 산업이 몰린 지역의 재생을 위한 ‘중심시가지형’, 불광2동 안암동 창3동 등 상권의 활력을 되찾기 위한 ‘근린재생 일반형’, 신영동처럼 동네의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돕는 ‘주거환경 관리사업’ 등이다.

기존의 골목길, 낡은 주택, 상권, 지역 고유의 문화·역사성 등을 고스란히 살리면서 쇠퇴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주차장과 도서관을 지어주고 폐쇄회로TV(CCTV)를 설치해 치안을 강화하려는 노력도 병행한다. 국지적인 재개발은 있을 수 있다. 한마디로 ‘지우고 새로 쓰는 도시’에서 ‘고쳐서 다시 쓰는 도시’가 서울시의 도시재생 정책 방향이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2015년 1월 전담조직인 ‘도시재생본부’를 신설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경제, 사회, 문화를 포괄하는 인문적 재생을 통해 공동체를 복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선/선한결 기자 leew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