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조사위. (자료 = 한경DB)
4대강 조사위. (자료 = 한경DB)
문재인 대통령이 재조사에 들어간 4대강 사업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녹색뉴딜' 공약 중 핵심 사업이다.

이명박 정부가 한강·낙동강·영산강·금강 등 4대강을 정비해 해마다 반복되는 홍수·가뭄을 방지하고 수질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취지로 시작했다. 역대 최대 규모인 22조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초기 구상에선 4대강을 수로로 활용하는 '대운하' 건설도 검토했으나 시민단체와 문가들의 반대로 '4대강 살리기 정비 사업'이 됐다.

4대강 사업의 핵심은 가뭄 대비를 위해 13억t의 수자원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정부는 4대강 하천 중간중간에 이포보, 강정보 등 총 16개의 보를 건설했다. 홍수예방을 위해 하상의 퇴적토를 파내는 준설을 통해 하천의 바닥을 깊게 했다.

농업용 저수지 개선과 산업단지 및 농공단지 폐수종말처리시설 설치, 하수처리시설 확충 등의 부가사업도 진행됐다. 4대강을 국민이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친환경 생태공간으로 만들겠다며 어도와 자전거길, 산책로, 체육시설 등을 조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업기간 내내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4대강 사업의 마스터플랜은 2009년 6월, 이명박 전 대통령 당선 이후 불과 6개월 만에 발표돼 졸속이라는 비난에 직면했다. 박근혜 대통령 시절인 2015년 공정거래위원회가 대대적인 담합 비리 조사에 착수해 11개 건설사, 22명이 기소되고 단일 사업으로 최대 규모인 1200억원이 넘는 과징금이 부과되기도 했다.

대규모 준설 등에 따른 습지 파괴 논란으로 '환경 파괴'라는 비난도 거셌다. 낙동강 등 4대강에 발생한 '녹조라떼' 현상은 4대강 사업에 대한 비난을 더욱 확산하는 계기가 됐다. 낙동강 인근 주민들은 최근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 수질이 오염돼 피해를 봤다며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집단소송'을 냈다.

정부는 4대강 녹조가 심각해지자 최근에 댐과 저수지, 보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방류량을 늘리는 '댐-보-저수지 연계운영 방안'을 추진하는 등 녹조 해결책을 찾고 있다. 연초에는 16개 보의 방류 한도를 기존 '양수제약' 수위에서 '지하수 제약' 수위까지 낮추고 시기도 녹조 창궐 기간인 6∼7월에서 연중 수시로 확대한 바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