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705/AA.13955360.1.jpg)
대전시는 2023년까지 1조2109억원을 들여 6개 지구로 나눠 지구별로 4차산업 핵심 인프라를 조성한다고 22일 발표했다. 권선택 시장은 “이 계획이 국정 과제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시에 4차 산업혁명 추진위원회와 전담조직을 설치해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4차산업 핵심 선도 도시 육성
시는 유성구 신동·둔곡지구 10만2000㎡에 2500억원을 들여 유전자의약산업진흥센터(500억원)와 중부권 원자력의학원(2000억원)을 건립한다. 진흥센터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유전자의약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중부권 원자력의학원은 전문암병동 300병상(9만6000㎡) 규모다. 대전에 건설 중인 중이온가속기와 연계해 중부권 중증질환 거점치료기관을 목표로 한다. 850억원을 들여 로봇소프트웨어 시험원과 드론 서비스 실증센터도 짓는다.
유성구 도룡지구는 로봇이 아파트를 관리하는 스마트 월드로 꾸며진다. 민간 개발로 2만5889㎡에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빌리지를 조성한다. 대덕특구 일원에 3000억원을 투입해 고령자 대상의 맞춤형 로봇 시스템(탑승형·보안형 로봇 등) 기반의 로보틱 실버타운을 500가구 규모로 건립한다. 2만4364㎡에 680억원을 투입해 4차 산업혁명 체험·전시관도 세운다.
기업 지원을 위한 각종 연구센터도 들어선다. 유성구 대동·금탄지구에 1300억원을 들여 원천소재개발센터와 융복합R&D(연구개발) 플라자, 빅데이터 서비스 지원센터를 건립한다. 안산지구는 1080억원을 들여 국방 정보통신기술(ICT) 첨단산업단지로 개발한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스위스 연방은행에서 발표한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 수준은 세계 139개국 중 25위였다”며 “대전에서 시작하는 4차산업 계획으로 우리나라가 10위권에 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기업들 성장에 ‘기대’
스마트 의약, 첨단센서, 정보통신 등의 대전지역 4차산업 관련 기업은 시의 발표에 환영하는 분위기다. 1000여 개 관련 기업은 시 계획이 가시화되면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리콘웍스 등 대전에 있는 첨단센서 분야 49개사의 2015년 매출은 6000억원 규모다. 가상현실·증강현실 분야 50개사는 같은 해 25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정보통신·소프트웨어 분야 764개사도 이 기간 2조8904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체외진단기기를 생산하는 헬스케어 기업인 수젠텍의 손미진 대표는 “정부와 시의 계획대로 4차산업 관련 인프라가 조성된다면 기업들도 기술혁신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