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인준 인제대 총장(사진)은 24일부터 28일까지 스리랑카를 방문해 라지타 세나라트너 보건부 장관을 만나 보건의료 공적개발원조(ODA)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또 콜롬보대를 방문해 간호교육 분야 지원과 양국 대학 간 학술교류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을 예정이다.
그룹 뉴진스 멤버 5인과 소속사 어도어의 법정싸움이 오는 3월 시작된다.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제50민사부는 어도어가 뉴진스 하니, 민지, 다니엘, 해린, 혜인을 상대로 제기한 기획사 지위보전 및 광고계약 체결 등 금지 가처분 심문 기일을 3월 7일로 정했다.이날 심문은 뉴진스 멤버들이 지난해 11월 29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어도어와의 전속계약 해지를 일방 통보한 뒤 처음 개시되는 법정 절차다. 뉴진스는 해당 기자회견 이후 예정돼 있던 어도어에서의 스케줄을 모두 소화했고, 그 뒤부터는 뉴진스라는 팀명을 쓰지 않고 개인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별도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개설하는가 하면, 새로운 팀명을 공모한다고 밝히기도 했다.이에 어도어는 뉴진스 멤버들을 상대로 '기획사 지위보전 및 광고계약 체결 등 금지 가처분'을 신청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전속계약 유효확인 소송도 제기했는데, 소송의 최종 판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그 사이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가처분 신청으로 막겠다는 계획이다.어도어는 뉴진스와 전속계약이 2029년 7월 31일까지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멤버들은 하이브와 어도어가 소속 가수 보호와 성장이라는 소속사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전속계약 유효확인 소송은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 41부에서 진행하며, 해당 소송의 첫 변론기일은 오는 4월 3일 오전 11시 30분이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상황 종료 후 윤석열 대통령이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국회에서 특전사 대원들을 철수시키라고 지시받은 적 없다고 증언했다. 윤 대통령의 4차 변론 발언과 배치되는 증언이 나와 이목이 쏠린다.곽 전 사령관은 6일 오후 윤 대통령 탄핵 심판 6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국회 측의 '상황이 종료된 이후 특전사 병력이 국회에서 철수했는데 증인 판단으로 철수를 지시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윤 대통령이나 김 전 장관으로부터 철수 지시를 받은 적 있느냐는 질문에도 "지시받지 않았다"고 했다.또 "김용현 전 장관이 비화폰으로 통화하면서 저한테 어떻게 하느냐고 물어봐서 제가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 세 군데, 민주당사, 여론조사 꽃 임무 정지하고 철수하겠다'고 말씀드리고 나서 철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윤 대통령은 지난 23일 4차 변론서 "계엄 해제 요구 결의가 나오자마자 곧바로 (김용현 전) 장관과 (박안수) 계엄사령관을 즉시 불러 철수를 지시했다"고 발언했다.이와 관련해 곽 전 사령관은 이날 자신이 김 전 장관에게 철수를 건의했다고 증언하며 이 같은 지시를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곽 전 사령관은 자신이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 등에게 국회 건물을 확보해 경계하고 봉쇄하도록 지시했다고도 주장했다.다만 '봉쇄'가 국회의원들에 대한 출입 통제도 포함하는지에 관한 질문엔 "윗사람 잘못"이라며 "확보 및 경계해서 봉쇄하라고 했을 때 어떤 것을 정확히 하라, 하지 말라 정확히 지시돼야 한다"고 말했다.이민형 한경닷컴
내수 경기 둔화 등의 여파로 지난해 임금 체불액이 사상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섰다.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임금 체불액이 2조448억원으로 2023년(1조7845억원)보다 14.6%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1993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후 최대 규모다. 지난해 임금 피해 근로자도 28만3212명으로 전년(27만5432명) 대비 2.8% 늘었다. 역대 최대 규모인 2019년(34만4977명)에 비해선 17.9% 낮은 수준이다.고용부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악화한 것이 체불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건설업 임금 체불은 전년 대비 9.6% 늘어난 4780억원으로 전체 체불액의 23.4%를 차지했다. 도소매·음식·숙박업(2647억원), 운수·창고·통신업(2478억원)에서도 체불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대유위니아(1197억원) 등 일부 중견기업에서 집단 임금체불이 발생한 것도 체불액 증가 요인으로 거론됐다. 임금체불 근로자에게 국가가 대신 임금을 지급하는 대지급금 지급액은 지난해 7242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갈아치웠다. 정부는 지급 능력이 있음에도 체불하는 악의적인 사업주 등은 구속 수사하는 등 임금 체불 방지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곽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