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중국 신용등급 28년 만에 한 단계 강등 'A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채 급증하는 중국…예고된 신용등급 강등
총부채비율 GDP의 277% "잠재성장률 5% 그칠 것"
총부채비율 GDP의 277% "잠재성장률 5% 그칠 것"
국제신용평가회사인 무디스가 중국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급격하게 불어나는 부채가 중장기적으로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우려했기 때문이다.
무디스는 24일 중국 국가신용등급을 ‘Aa3’에서 ‘A1’으로 강등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가 톈안먼 민주화 시위에 강경 대응한 여파로 1989년 11월 하향 조정한 이후 28년 만이다.
무디스는 이번 신용등급 조정 배경으로 “정부 부채와 기업 부채가 급격히 늘고 있는 데다 경제성장률도 둔화되고 있어 재무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무디스는 중국 국가신용등급 전망은 다시 ‘안정적’으로 환원했다. 당분간 신용등급 ‘A1’ 아래로 추가 강등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뜻이다.
중국 금융시장은 한때 출렁거리다 안정을 되찾았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오전장에 1%대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낙폭을 줄여 0.07% 오른 3064.08에 마감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24일 새로 매긴 중국 국가신용등급 ‘A1’은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같은 수준이다. 한국보다는 두 단계 아래다. 무디스는 작년 3월 중국의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추면서 강등 가능성을 예고했다.
중국 경제의 회복세를 감안하면 이번 강등이 다소 의외라는 반응도 있다. 작년 1~3분기 각각 6.7%(전년 동기 대비)였던 중국의 분기 성장률이 4분기에 6.8%로 높아졌고, 올 1분기에는 6.9%를 기록했다. 작년 초까지 국제 금융시장을 짓누른 ‘차이나 리스크’ 역시 올 들어선 소멸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런데도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것은 중국 경제의 중장기 전망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무디스는 중국 경제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부채 급증을 꼽았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 비중은 45.6%(2016년 6월 말 기준)로 낮은 편이다. 무디스는 이 비중이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GDP 대비 기업 부채 비중도 167.6%로 미국(72.4%) 영국(75.1%) 일본(98.7%) 한국(105.7%)보다 높다. 2008년 160%였던 중국의 GDP 대비 총 부채(정부와 기업) 비율은 지난해 277%로 8년 새 90%포인트 넘게 올랐다.
기업 부채 증가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점도 문제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8년 말 이후 작년 6월 말까지 신흥국의 기업 부채가 평균 49.8% 증가하는 동안 중국은 71.3% 급증했다. 무디스는 “중국 경제 전반의 부채가 몇 년간 더 늘어날 것”이라며 “예정된 개혁정책들이 부채 증가 속도를 늦출 수는 있겠지만 막을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부채 급증 문제 때문에 현행 6%대 중반 수준인 중국 경제의 잠재성장률도 향후 5년간 약 5%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즉각 반박했다. 중국 재정부는 “무디스의 신용평가가 적절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뤄져 중국 경제의 어려움을 과대평가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부채 문제가 경제의 뇌관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중국 정부도 인정하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작년 6월 부채 급증 문제의 심각성을 공식 제기한 직후 중국 정부는 부채 위험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
무디스는 24일 중국 국가신용등급을 ‘Aa3’에서 ‘A1’으로 강등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가 톈안먼 민주화 시위에 강경 대응한 여파로 1989년 11월 하향 조정한 이후 28년 만이다.
무디스는 이번 신용등급 조정 배경으로 “정부 부채와 기업 부채가 급격히 늘고 있는 데다 경제성장률도 둔화되고 있어 재무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무디스는 중국 국가신용등급 전망은 다시 ‘안정적’으로 환원했다. 당분간 신용등급 ‘A1’ 아래로 추가 강등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뜻이다.
중국 금융시장은 한때 출렁거리다 안정을 되찾았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오전장에 1%대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낙폭을 줄여 0.07% 오른 3064.08에 마감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24일 새로 매긴 중국 국가신용등급 ‘A1’은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같은 수준이다. 한국보다는 두 단계 아래다. 무디스는 작년 3월 중국의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추면서 강등 가능성을 예고했다.
중국 경제의 회복세를 감안하면 이번 강등이 다소 의외라는 반응도 있다. 작년 1~3분기 각각 6.7%(전년 동기 대비)였던 중국의 분기 성장률이 4분기에 6.8%로 높아졌고, 올 1분기에는 6.9%를 기록했다. 작년 초까지 국제 금융시장을 짓누른 ‘차이나 리스크’ 역시 올 들어선 소멸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런데도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것은 중국 경제의 중장기 전망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무디스는 중국 경제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부채 급증을 꼽았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 비중은 45.6%(2016년 6월 말 기준)로 낮은 편이다. 무디스는 이 비중이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GDP 대비 기업 부채 비중도 167.6%로 미국(72.4%) 영국(75.1%) 일본(98.7%) 한국(105.7%)보다 높다. 2008년 160%였던 중국의 GDP 대비 총 부채(정부와 기업) 비율은 지난해 277%로 8년 새 90%포인트 넘게 올랐다.
기업 부채 증가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점도 문제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8년 말 이후 작년 6월 말까지 신흥국의 기업 부채가 평균 49.8% 증가하는 동안 중국은 71.3% 급증했다. 무디스는 “중국 경제 전반의 부채가 몇 년간 더 늘어날 것”이라며 “예정된 개혁정책들이 부채 증가 속도를 늦출 수는 있겠지만 막을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부채 급증 문제 때문에 현행 6%대 중반 수준인 중국 경제의 잠재성장률도 향후 5년간 약 5%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즉각 반박했다. 중국 재정부는 “무디스의 신용평가가 적절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뤄져 중국 경제의 어려움을 과대평가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부채 문제가 경제의 뇌관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중국 정부도 인정하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작년 6월 부채 급증 문제의 심각성을 공식 제기한 직후 중국 정부는 부채 위험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