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대통령이 직접 해명하라" 압박…이낙연 '국회 인준' 난기류
문재인 정부 1기 내각 출범이 중대 고비를 맞았다.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사진)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이 늦어지는 가운데 야당은 문재인 대통령의 직접적인 해명을 요구하며 공세를 펴고 있다. 새 정부 초기 정국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계산까지 맞물려 대립이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28일 고위 공직 후보자들에게 제기된 도덕성 논란과 관련해 파상 공세를 펼쳤다. 정용기 한국당 원내수석대변인은 “대통령 스스로 제시한 원칙을 어긴 인사를 계속하고 있어 직접적인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명길 국민의당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청와대가 위장전입은 고위 공직자 임명에 더 이상 배제 사유가 되지 않는 것인지에 대한 답을 먼저 밝혀야 한다”며 “이 문제를 정리하지 않은 채 총리 인준 문제를 넘기면 고위 공직자의 도덕적 기준이 크게 후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도 “대통령 본인이 왜 그렇게밖에 임명할 수 없었는지 설명하고 사과할 부분이 있으면 사과하고, 앞으로 어떤 원칙으로 고위직 인사를 할 것인지 설명하는 것이 해법”이라며 문 대통령이 직접 해명할 것을 요구했다. 여야가 처리 시한으로 잡은 31일까지 총리 인준안이 처리되지 못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야당은 서훈 국가정보원장 내정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의혹을 제기하며 전선을 넓히고 있다. 정준길 한국당 대변인은 강 후보자의 두 딸이 강 후보자가 지명된 뒤 수백만원의 증여세를 납부한 것과 관련, “후보자 지명 후 세금을 냈다고 해서 탈세가 용서되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서 내정자는 2012년 KT스카이라이프로부터 매달 1000만원씩 총 9000만원의 자문료를 받은 사실이 논란이 되고 있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 측은 “KT스카이라이프가 서 내정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북한 관련 자문위원 자리를 급조한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국회는 서 내정자(29일), 김상조 내정자(6월2일),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6월7일)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잇따라 열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별도 일정 없이 참모들과 인사 논란에 대한 해법을 고심했다. 전병헌 정무수석,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 등은 여야 지도부 및 인사청문특별위원회 간사들과 접촉하며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의원 워크숍에서 “야당이 총리 인준에 정략적인 태도로 일관해 유감”이라며 “인사권자의 선의를 왜곡하지 말고 인사청문회의 새로운 기준을 정립해가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야당 시절 하나의 흠결만으로 총리 인준에 반대하진 않았다”고 주장했다.

29일 시작하는 임시국회도 험로가 예상된다. 한국당은 정부가 추진하는 10조원 규모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에 대해 “국가재정법상 추경 요건에 해당하지 않음에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며 일자리 추경에 부정적인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 대선 공약인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도 한국당이 반대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유승호/배정철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