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주 '기본요금 폐지' 악재 뚫고 반등
정부의 ‘기본 통신료 폐지’ 공약에 휘청이던 통신주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 규제보다 4차 산업혁명 수혜주로서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살아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LG유플러스는 2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200원(1.27%) 오른 1만5900원에 마감했다. 지난 25일 장중 한때 1만6200원까지 올라 1년 최고가를 기록하는 등 최근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SK텔레콤, KT 등 다른 통신주도 이달 중순께부터 오름세를 탔다. 두 회사 주가는 지난 15일 이후 이날까지 각각 5.9%, 3.8% 상승했다.

이달 초까지만 해도 통신주는 치솟는 코스피지수와 반대로 움직였다.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가계통신비 부담 절감책’ 공약 실행안을 발표한 게 악재였다. 월 1만1000원 정도인 통신사들의 통신 기본료를 폐지하겠다는 공약은 고정 수익원을 없앨 수 있다는 우려를 키웠다. 이후 LG유플러스 주가가 1만3200원(지난 15일 종가)까지 떨어지는 등 주요 통신사가 모두 하락했다.

통신주를 반등시킨 주역은 외국인이다. 외국인은 지난주 SK텔레콤(334억원) LG유플러스(196억원)를 대량으로 순매수했다. KT는 이미 외국인이 살 수 있는 상장주식 한도(49%)가 찼다.

2019년 5세대(5G) 통신기술이 국내에 조기 도입되면서 통신사의 기업가치가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호재가 됐다는 설명이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