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주가 달가워하지 않는 은행·웨딩홀·산부인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동산 프리즘
3대 인기 업종의 추락
"폐업으로 인한 공실 우려 커"
3대 인기 업종의 추락
"폐업으로 인한 공실 우려 커"
은행, 웨딩홀, 산부인과 등이 건물주의 임대 선호도가 추락한 상가 3대 업종으로 꼽혔다. 이들 업종을 잘못 들였다간 폐업으로 인한 장기 공실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수익형 부동산 정보업체인 상가정보연구소는 한때 우량 임차인 대접을 받았던 은행, 웨딩홀, 산부인과 등 3대 업종이 건물주의 기피 대상으로 전락했다고 31일 밝혔다. 은행은 넓은 임차면적을 오랜 기간 사용해 전통적으로 건물주들이 선호했다. 그러나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한 금융거래가 확산되면서 은행들이 영업점 수 줄이기에 나선 게 변수가 되고 있다. 언제 철수해버릴지 모른다는 지적이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서울지역 은행 영업점 수는 2014년 12월 5208개에서 올해 4월 기준 3415개로 34.4% 감소했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시중은행이 영업점 구조조정을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어서 이 같은 감소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은행은 넓은 임차면적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실 발생 시 그 자리를 메울 임차인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미혼 인구 증가와 저출산 영향으로 웨딩홀과 산부인과의 폐업도 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혼인 건수는 28만1700건으로 1974년(25만9100건) 이후 4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혼인 건수 감소로 지난해 서울 시내 웨딩홀 160여 곳 중 9곳이 폐업을 신청해 6.3%가 줄었다. 특히 임대료가 비싼 강남구의 웨딩홀 및 웨딩서비스 업체가 큰 타격을 입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결혼산업 중심인 강남구 청담동의 웨딩홀·웨딩서비스 업체 수는 지난해 6월 152곳에서 올 4월 100곳으로 약 1년 새 34%나 감소했다.
산부인과도 개업보다 폐업이 더 많은 현상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전국에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총 520곳의 산부인과가 폐업했다. 같은 기간 개원한 산부인과는 296곳으로 폐업한 산부인과가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이 연구원은 “상가 투자자 입장에서 임차 업종의 트렌드 변화에 관심을 둬야 공실 리스크를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수익형 부동산 정보업체인 상가정보연구소는 한때 우량 임차인 대접을 받았던 은행, 웨딩홀, 산부인과 등 3대 업종이 건물주의 기피 대상으로 전락했다고 31일 밝혔다. 은행은 넓은 임차면적을 오랜 기간 사용해 전통적으로 건물주들이 선호했다. 그러나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한 금융거래가 확산되면서 은행들이 영업점 수 줄이기에 나선 게 변수가 되고 있다. 언제 철수해버릴지 모른다는 지적이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서울지역 은행 영업점 수는 2014년 12월 5208개에서 올해 4월 기준 3415개로 34.4% 감소했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시중은행이 영업점 구조조정을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어서 이 같은 감소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은행은 넓은 임차면적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실 발생 시 그 자리를 메울 임차인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미혼 인구 증가와 저출산 영향으로 웨딩홀과 산부인과의 폐업도 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혼인 건수는 28만1700건으로 1974년(25만9100건) 이후 4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혼인 건수 감소로 지난해 서울 시내 웨딩홀 160여 곳 중 9곳이 폐업을 신청해 6.3%가 줄었다. 특히 임대료가 비싼 강남구의 웨딩홀 및 웨딩서비스 업체가 큰 타격을 입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결혼산업 중심인 강남구 청담동의 웨딩홀·웨딩서비스 업체 수는 지난해 6월 152곳에서 올 4월 100곳으로 약 1년 새 34%나 감소했다.
산부인과도 개업보다 폐업이 더 많은 현상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전국에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총 520곳의 산부인과가 폐업했다. 같은 기간 개원한 산부인과는 296곳으로 폐업한 산부인과가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이 연구원은 “상가 투자자 입장에서 임차 업종의 트렌드 변화에 관심을 둬야 공실 리스크를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