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연구진, 옷처럼 입는 '달리기 도우미'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옷처럼 입는 '달리기 도우미' 장치가 개발됐다.
미국 하버드대 코너 월시 교수(공동 교신저자)와 이기욱 박사(1저자) 등이 참여한 연구진은 이런 '엑소수트'(Exosuit)를 제작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최신호(5월 31일 자)에 실렸다.
연구진이 제안한 엑소수트는 허리에 차는 벨트와 허벅지에 차는 벨트를 와이어로 이은 형태로, 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벨트는 모두 천으로 만들었다.
사람이 달릴 때 엑소수트에 달린 와이어의 길이가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조절돼 다리에 힘이 덜 들어가게 한다.
이전에 연구진은 허리 벨트와 종아리 벨트가 연결된 장치를 보행용으로 개발한 적이 있는데, 이번에 이를 '달리기용'으로 개량한 것이다.
사람이 이 장치를 착용했을 때 시속 9km로 러닝 머신 위를 달리는 것이 가능했고, 운동 효율은 5.4% 정도 향상됐다.
연구진은 "입고 달릴 수 있는 로봇 개발의 기초를 마련했다"고 이번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미국 하버드대 코너 월시 교수(공동 교신저자)와 이기욱 박사(1저자) 등이 참여한 연구진은 이런 '엑소수트'(Exosuit)를 제작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최신호(5월 31일 자)에 실렸다.
연구진이 제안한 엑소수트는 허리에 차는 벨트와 허벅지에 차는 벨트를 와이어로 이은 형태로, 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벨트는 모두 천으로 만들었다.
사람이 달릴 때 엑소수트에 달린 와이어의 길이가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조절돼 다리에 힘이 덜 들어가게 한다.
이전에 연구진은 허리 벨트와 종아리 벨트가 연결된 장치를 보행용으로 개발한 적이 있는데, 이번에 이를 '달리기용'으로 개량한 것이다.
사람이 이 장치를 착용했을 때 시속 9km로 러닝 머신 위를 달리는 것이 가능했고, 운동 효율은 5.4% 정도 향상됐다.
연구진은 "입고 달릴 수 있는 로봇 개발의 기초를 마련했다"고 이번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