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폭탄'이 '문자행동'이라고?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이 이낙연 국무총리 청문회 기간 야당 의원들이 받은 ‘문자폭탄’에 대해 ‘문자행동’이라고 이름 붙이자고 제안해 논란이 일고 있다.

손 의원은 지난달 31일 페이스북에 “(문자행동은) 자신의 생각을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행동으로 옮긴다는 뜻”이라며 “문자폭탄이란 명칭 때문에 국민들의 의견이 폄하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손 의원은 1일 자신의 휴대폰 번호를 페이스북에 공개했다.

그러나 이 총리 청문회 기간 중 야당 의원들이 받은 문자는 인신공격성 내용이 많고, 문자폭탄이 행정부를 감시하는 의원들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자유한국당은 야3당이 문자폭탄에 공동 대응하자고 제안했다. 정우택 한국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문제의 심각성을 야3당이 공통으로 느끼고 있다”며 “3당이 어떤 공동보조를 취할지 원내수석부대표들이 논의해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이미 문자폭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법적 대응하기로 했다. 김유정 국민의당 대변인은 손 의원의 주장에 대해 “한마디로 나쁘다고 생각한다”며 “본인이 겪어 보지 않은 일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 총리도 이날 기자들을 만나 “문자폭탄은 표현의 자유에 속하지만 개개인이 절도를 지켜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국민 참여도 격식과 형식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 교수는 문자폭탄에 대해 “국민 참여라는 것을 빌미로 남을 배려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관철하려는 비타협적인 태도”라며 “민주주의 절차에는 대화와 타협이 있다. 대립하는 사람의 목소리도 들어주는 것이 성숙한 민주주의”라고 말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