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 미사일국장 방한…5일 청와대 안보실장 만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
"사드 조치 이해…한국과 투명하게 협력하고 있다"
한·미 관계 '사드 불똥' 차단
"사드 조치 이해…한국과 투명하게 협력하고 있다"
한·미 관계 '사드 불똥' 차단
제임스 실링 미국 국방부 미사일방어국장이 4일 한국을 방문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5일 실링 국장을 접견할 예정”이라며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도 함께 정 실장을 예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단순한 예방으로 알고 있으며, 문재인 대통령을 직접 만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링 국장은 미 국방부 미사일방어국(MDA) 수장으로서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를 비롯한 미사일 방어체계를 책임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미 국방부가 최초로 실시한 장거리 탄도미사일(ICBM) 요격 훈련을 지휘한 바 있다. 청와대 측은 ‘단순한 예방’ 차원이라고 밝혔으나 실링 국장의 청와대 방문은 사드 반입 및 배치가 한·미 당국 간 합의에 의해 투명하게 이뤄졌음을 새 정부에 적극 설득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앞서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 장관은 지난 3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한국 정부의 사드 관련 조치를 이해하고 신뢰한다”고 밝혔다고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전했다. 한 장관이 “한국 정부의 사드 조치는 전적으로 국내적 조치이며 기존 결정을 바꾸려거나 미국에 다른 메시지를 전하려는 것이 아니다”고 밝힌 데 대한 답변이었다.
아시아안보회의 주제발표자였던 매티스 장관은 한국 내 사드 논란을 의식한 듯 주제발표문 초안에 없던 “한국과 투명하게 협력하고 있다”는 문구를 넣었다. 주제발표 후 열린 간담회에서도 “사드 배치는 실질적인 북한 위협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어 “북한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은 우리 모두에게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위협이자 전 세계에 대한 도전”이라고 규정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실링 국장은 미 국방부 미사일방어국(MDA) 수장으로서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를 비롯한 미사일 방어체계를 책임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미 국방부가 최초로 실시한 장거리 탄도미사일(ICBM) 요격 훈련을 지휘한 바 있다. 청와대 측은 ‘단순한 예방’ 차원이라고 밝혔으나 실링 국장의 청와대 방문은 사드 반입 및 배치가 한·미 당국 간 합의에 의해 투명하게 이뤄졌음을 새 정부에 적극 설득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앞서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 장관은 지난 3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한국 정부의 사드 관련 조치를 이해하고 신뢰한다”고 밝혔다고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전했다. 한 장관이 “한국 정부의 사드 조치는 전적으로 국내적 조치이며 기존 결정을 바꾸려거나 미국에 다른 메시지를 전하려는 것이 아니다”고 밝힌 데 대한 답변이었다.
아시아안보회의 주제발표자였던 매티스 장관은 한국 내 사드 논란을 의식한 듯 주제발표문 초안에 없던 “한국과 투명하게 협력하고 있다”는 문구를 넣었다. 주제발표 후 열린 간담회에서도 “사드 배치는 실질적인 북한 위협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어 “북한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은 우리 모두에게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위협이자 전 세계에 대한 도전”이라고 규정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