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쩍하거나 기기 파손 잦아
지자체·업체, 잇따라 포기 선언
대표적인 사례가 지하철역의 우산 대여 서비스다. 서울 등 수도권 지하철역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비오는 날 우산 대여 서비스를 해 왔다. 주로 인근 교회나 자선단체로부터 기증을 받아 무료로 빌려줬지만 회수율은 10~20% 수준에 그쳤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현재 수도권 400여 개 전철역에서 우산 대여 서비스를 하는 곳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거의 회수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무작정 투입할 수는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책 읽는 문화를 확산시키자며 1980년대 후반부터 수도권 각 지하철역에 설치된 무료 도서관도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다만 서울 미아역, 수유역 등 일부 역에서 회원 가입을 거쳐 신분이 확인된 경우에 한해 책을 빌려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가 지하철역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공공대여 서비스는 비상의약품(굿닥)과 휴대폰 충전(해피서비스) 두 가지다. 그나마도 곧 사라질 전망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달부터 지하철 5~8호선 35개 역에 연고 반창고 파스 생리대 등을 비치하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시행 한 달도 되지 않아 상당수 의약품 함이 빈 상자가 되면서 서비스가 중단될 처지에 놓였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1주일에 한 번씩 약품을 채우고 있는데 필요 이상으로 가져가는 사람들이 많아 지금은 적정량만 넣어두고 있는 상황”이라며 “시범운영 기간인 11월까지는 시행하겠지만 연장 계획은 없다”고 했다.
서울지하철 5~8호선 152개 역에서 운영 중인 휴대폰 충전 서비스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2월 보조배터리 제작업체 프리비솔루션이 157개의 무료 휴대폰 충전기를 설치했으나 이용객들이 함부로 다루면서 상당수가 고장 나 방치된 상태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