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 만에 다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빠르게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계란값과 닭고기 가격이 다시 요동치고 있다. 초복 대목을 앞둔 요식업계도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칠까 노심초사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경DB.
두 달 만에 다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빠르게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계란값과 닭고기 가격이 다시 요동치고 있다. 초복 대목을 앞둔 요식업계도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칠까 노심초사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경DB.
두 달 만에 다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면서 겨우 진정됐던 계란과 닭고기 가격이 또 들썩이고 있다.

AI로 이미 적잖은 피해를 입은 요식업계는 1년 중 최대 대목인 초복을 불과 한 달 앞둔 상황에서 불똥이 튀지 않을 까 노심초사하는 모습이다.

8일 한국농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이날 기준으로 전국 평균 특란 한 판(30구)의 소매가격은 7967원이다.

이는 같은 기간 최근 5년 평균 가격보다 43% 높은 수준이고,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선 52% 높다.

지난 4월 전국적으로 AI가 잦아들기 시작하면서 떨어졌던 계란값은 지난달 한 판에 8000원 밑으로 내려갔지만 최근 재발한 조류인플루엔자 영향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특히 물량확보가 용이한 대형마트와 달리 수급이 불안정한 동네 소매점의 경우 계란 한 판 값은 1만원대 안팎을 오가고 있다.

계란유통 전문가들은 아직 AI 재확산 여파가 시중 계란가격에 영향을 줄만큼의 수준은 아니지만 불안정한 심리가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기지역 한 계란도매업체 대표는 "연초에 비해 계란수급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데다 6월은 계란 판매에서 비수기에 속한다"며 "하지만 AI가 언제 다시 크게 번질지 몰라 계란값을 못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계탕 등을 파는 닭 요리 요식업계는 AI 불똥이 당장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초복 대목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불안해하고 있다.

특정 온도 이상에서 가열해 요리하면 조류인플루엔자가 인체에 주는 영향이 전혀 없다는 과학적 설명에도 불구하고 AI가 소비심리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여의도 한 삼계탕 가게 사장은 "이미 연초부터 확산된 AI 때문에 가게 임대료를 제때 내지 못할 정도로 금전적 손해를 입었다"며 "이번 여름 대목은 아예 기대를 할 상황이 아니다"고 토로했다.

AI에 따른 대량 살처분으로 닭고기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닭 가격도 오름세로 돌아섰다. aT에 따르면 이날 전국 평균 닭고기(중품, 1kg 기준) 소매가격은 5910원으로 한 달 전보다 4.4% 뛰었다.

연초 AI 피해를 비켜갔던 치킨업계도 노심초사다. 국내 주요 치킨업체인 교촌치킨, BHC치킨, BBQ치킨은 AI 발생 이후 매출이 평년보다 5~10% 줄어드는 데 그칠 정도로 선방했다.

그러나 최근 가격 인상 이슈가 있는데다 AI가 장기화하면서 소비심리가 극도로 악화되고 있어 걱정하는 눈치다.

한 치킨업체 관계자는 "치킨은 가격 저항이 특히 심한 품목인 데다 최근 가격 인상 요인으로 여론도 좋지 않아 매일 주문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