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중앙은행·공적연금 금 보유량 18년 만에 최대
지난해 각국 중앙은행 등 공공부문의 금 보유량이 199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과 달러화 가치 상승, 정치적 불확실성에 대비해 금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영국 런던과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하는 싱크탱크 통화금융공식포럼(OMFIF)은 세계 중앙은행, 공적연금, 국부펀드 등 공공부문 750곳이 보유하고 있는 금을 집계한 결과 작년 말 기준 3만1000t으로 2015년보다 377t 늘어났다고 12일 발표했다.

다나에 키리아코풀루 OMFI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영국의 브렉시트(유럽연합 탈퇴) 결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자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금으로 몰려갔다”고 설명했다.

영국의 브렉시트 투표(작년 6월23일)와 미국 대선(11월8일) 뒤 금값은 온스당 1300달러대 중반까지 급등했다. 이후 1120달러대까지 급락했다가 1260달러대 중반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세계금협회(WGC) 소속 앨리스테어 휴잇 시장정보 담당자는 공공부문 투자자들이 달러 가치 상승으로 인한 손실을 피하려고 금을 사는 경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달러 가치는 영국 파운드화 대비 15% 상승했다.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등 신흥국 중앙은행들은 미국 달러에 편중된 자산을 다변화하기 위해 금 보유를 늘렸다. 러시아 중앙은행 금 보유량은 2014년 초 1000t가량이었으나 지난 3월말 1680t까지 불어났다. 전체 외환보유액의 약 15%를 금으로 갖고 있다. 주요국 경기가 회복세를 타자 실물자산인 금을 사들여 물가상승을 방어하려는 수요도 있다.

OMFIF는 공공부문 투자자가 향후 1년간 가장 우려하는 리스크로 각국 선거 결과 등 지정학적인 문제를 꼽았다고 전했다. 또 이들은 향후 2년간 부동산과 신재생에너지 등 정기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분야에 투자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