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기사에 대한 포털의 전재료 10배 올려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문협회 발행인세미나서 안민호 교수 주제발표
네이버 체류시간 40% 뉴스 검색, 적정 전재료 3500억원은 돼야
박성희 이화여대 교수 "신문의 디지털화 확대 지원 시급"
네이버 체류시간 40% 뉴스 검색, 적정 전재료 3500억원은 돼야
박성희 이화여대 교수 "신문의 디지털화 확대 지원 시급"
국내 신문사들이 포털사이트에 제공하는 뉴스의 전재료를 지금보다 10배는 더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민호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15일 대전 유성호텔에서 열린 한국신문협회(회장 이병규) 창립 기념 발행인 세미나에서 ‘포털 뉴스 서비스에서 뉴스 저작물의 기여도에 관한 계량적 분석’이란 제목의 주제발표를 하며 이같이 밝혔다.
안 교수에 따르면 국민 한 사람이 포털에서 뉴스를 보는 시간은 1주일에 약 272시간으로 포털 체류 시간의 40%에 이른다. 안 교수는 “지난해 포털의 PC 및 모바일 광고 매출을 기준으로 적정 뉴스저작물 전재료를 추산해보면 네이버와 카카오를 합해 약 3528억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디지털광고 매출 기준 적정 PC 전재료는 각각 1170억원, 198억원이다. 모바일 적정 전재료는 각각 1890억원, 270억원으로 추산됐다.
안 교수는 “포털이 뉴스 이용 데이터 공개를 거부하고 관련 매출 자료를 파악할 수 없게 회계 처리해 전재료를 정확하게 계산하기는 어렵다”면서도 “3528억원이란 전재료는 현재 신문사들이 포털로부터 받고 있는 전재료의 약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모바일 광고 수익·매출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 검색·커뮤니티·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유통되는 뉴스 저작물 이용 측정의 고도화, 불공정시장 개선을 위한 신문업계 공동 대응 등을 제언했다.
안 교수는 “포털과 신문사 간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 또는 협력이 불가능한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신문업계 공동의 전략적 대응과 규제기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선 ‘선진 외국의 신문 지원정책 현황과 시사점’에 관한 박성희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의 발제도 있었다. 박 교수는 “유럽의 신문 지원정책은 신문의 뉴미디어 진출과 디지털화, 저널리즘 능력 강화 등에 초점을 두고 종이 신문의 한계를 넘어 콘텐츠의 디지털 보급을 늘리는 데 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신문 진흥정책은 시민 민주주의를 위한 인프라를 되살리는 정책으로 접근해야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술 변화에 수반되는 미디어 환경에서 저널리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재원과 수익을 공평하게 나눌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새 환경에 맞는 저널리즘 플랫폼 개발 지원, 포털·소셜미디어·스마트폰 앱(응용프로그램) 등 새로운 채널과의 건강한 관계 모색, 공평한 수익구조 및 뉴스 저작권 보호 등 기술 혁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안민호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15일 대전 유성호텔에서 열린 한국신문협회(회장 이병규) 창립 기념 발행인 세미나에서 ‘포털 뉴스 서비스에서 뉴스 저작물의 기여도에 관한 계량적 분석’이란 제목의 주제발표를 하며 이같이 밝혔다.
안 교수에 따르면 국민 한 사람이 포털에서 뉴스를 보는 시간은 1주일에 약 272시간으로 포털 체류 시간의 40%에 이른다. 안 교수는 “지난해 포털의 PC 및 모바일 광고 매출을 기준으로 적정 뉴스저작물 전재료를 추산해보면 네이버와 카카오를 합해 약 3528억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디지털광고 매출 기준 적정 PC 전재료는 각각 1170억원, 198억원이다. 모바일 적정 전재료는 각각 1890억원, 270억원으로 추산됐다.
안 교수는 “포털이 뉴스 이용 데이터 공개를 거부하고 관련 매출 자료를 파악할 수 없게 회계 처리해 전재료를 정확하게 계산하기는 어렵다”면서도 “3528억원이란 전재료는 현재 신문사들이 포털로부터 받고 있는 전재료의 약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모바일 광고 수익·매출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 검색·커뮤니티·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유통되는 뉴스 저작물 이용 측정의 고도화, 불공정시장 개선을 위한 신문업계 공동 대응 등을 제언했다.
안 교수는 “포털과 신문사 간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 또는 협력이 불가능한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신문업계 공동의 전략적 대응과 규제기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선 ‘선진 외국의 신문 지원정책 현황과 시사점’에 관한 박성희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의 발제도 있었다. 박 교수는 “유럽의 신문 지원정책은 신문의 뉴미디어 진출과 디지털화, 저널리즘 능력 강화 등에 초점을 두고 종이 신문의 한계를 넘어 콘텐츠의 디지털 보급을 늘리는 데 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신문 진흥정책은 시민 민주주의를 위한 인프라를 되살리는 정책으로 접근해야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술 변화에 수반되는 미디어 환경에서 저널리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재원과 수익을 공평하게 나눌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새 환경에 맞는 저널리즘 플랫폼 개발 지원, 포털·소셜미디어·스마트폰 앱(응용프로그램) 등 새로운 채널과의 건강한 관계 모색, 공평한 수익구조 및 뉴스 저작권 보호 등 기술 혁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