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한 방' 없었던 부동산 대책…은행·건설株 여전히 '맑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동산시장 과열을 잡기 위해 새 정부가 첫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증권가에선 '한 방'이 없는 아쉬운 대책이라는 평가를 내놓으며, 직격탄이 예상됐던 건설·은행주에 대한 영향도 미미할 것이라고 봤다.
진용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새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대책에 서프라이즈는 없었다"며 "가계부채 관리 측면에서는 반쪽자리 대책이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전날 '6·19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정책의 골자는 조정대상지역의 추가선정, 서울지역 전매제한 기간 강화, 맞춤형 LTV(담보인정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강화, 재건축조합원 주택 공급 수 제한 등이다. 김세찬 대신증권 연구원 역시 아쉬웠다는 평가를 내렸다. 예상보다 규제의 강도가 약했다는 판단에서다. 김 연구원은 "과열되는 시장에 대한 방안으로는 부족하다"며 "정부가 하반기 집중돼 있는 입주물량,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등 조정 요인에 대한 반응을 살피며 단계 대응하려는 입장인 듯 하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대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건설, 은행주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송유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시장의 규제 리스크는 건설업종에 부정적인 요인이지만 이번 대책이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며 "이미 부동산대책이 규제 강화 기조로 돌아선 지난해부터 국내 주택사업에 대한 기대는 크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송 연구원은 "건설주의 주가 움직임은 국내 주택사업보다는 해외 건설시장에 더 민감하다"며 "다만 부동산 시장 과열 국면이 지속될 경우 정부가 추가로 강도 높은 규제를 시행하면 단기 주가 변동성은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건설주에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이선일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불확실성 해소'와 '분양시장 실수요층 확대'라는 측면에서 건설주 주가에 호재일 수 있다고 봤다.
이 연구원은 "새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대한 의구심이 해소된 가운데 투기수요를 걷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최근의 경향처럼 분양시장 계약률은 오히려 상승하는 선순환을 가져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은행주에도 긍정적인 모멘텀이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책과 향후 가계부채 종합대책에서 나올 것으로 언급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신 DTI 도입 등의 금융규제들은 은행주에 긍정적"이라며 "대출증가목표(올해 4~5%)가 무리없이 달성 가능하고 리스크 관리 강화에 따른 대손율 안정, 대출 가산금리 하락 가능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출 성장에 대한 기대가 낮고, 소호(SOHO) 대출이나 비은행 자회사로 자산확대가 용이한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를 각각 최선호주, 차선호주로 꼽았다.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순이자마진(NIM) 개선이 기대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이미 계약된 집단대출 규모와 은행의 리스크관리 필요성을 감안하면 부동산 대책이 부정적인 이슈는 아니다"며 "대출공급 축소로 인해 오히려 마진관리가 용이하므로 NIM개선에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진용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새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대책에 서프라이즈는 없었다"며 "가계부채 관리 측면에서는 반쪽자리 대책이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전날 '6·19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정책의 골자는 조정대상지역의 추가선정, 서울지역 전매제한 기간 강화, 맞춤형 LTV(담보인정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강화, 재건축조합원 주택 공급 수 제한 등이다. 김세찬 대신증권 연구원 역시 아쉬웠다는 평가를 내렸다. 예상보다 규제의 강도가 약했다는 판단에서다. 김 연구원은 "과열되는 시장에 대한 방안으로는 부족하다"며 "정부가 하반기 집중돼 있는 입주물량,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등 조정 요인에 대한 반응을 살피며 단계 대응하려는 입장인 듯 하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대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건설, 은행주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송유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시장의 규제 리스크는 건설업종에 부정적인 요인이지만 이번 대책이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며 "이미 부동산대책이 규제 강화 기조로 돌아선 지난해부터 국내 주택사업에 대한 기대는 크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송 연구원은 "건설주의 주가 움직임은 국내 주택사업보다는 해외 건설시장에 더 민감하다"며 "다만 부동산 시장 과열 국면이 지속될 경우 정부가 추가로 강도 높은 규제를 시행하면 단기 주가 변동성은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건설주에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이선일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불확실성 해소'와 '분양시장 실수요층 확대'라는 측면에서 건설주 주가에 호재일 수 있다고 봤다.
이 연구원은 "새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대한 의구심이 해소된 가운데 투기수요를 걷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최근의 경향처럼 분양시장 계약률은 오히려 상승하는 선순환을 가져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은행주에도 긍정적인 모멘텀이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책과 향후 가계부채 종합대책에서 나올 것으로 언급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신 DTI 도입 등의 금융규제들은 은행주에 긍정적"이라며 "대출증가목표(올해 4~5%)가 무리없이 달성 가능하고 리스크 관리 강화에 따른 대손율 안정, 대출 가산금리 하락 가능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출 성장에 대한 기대가 낮고, 소호(SOHO) 대출이나 비은행 자회사로 자산확대가 용이한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를 각각 최선호주, 차선호주로 꼽았다.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순이자마진(NIM) 개선이 기대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이미 계약된 집단대출 규모와 은행의 리스크관리 필요성을 감안하면 부동산 대책이 부정적인 이슈는 아니다"며 "대출공급 축소로 인해 오히려 마진관리가 용이하므로 NIM개선에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