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광역자치단체 8곳 가운데 인구가 가장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인구 감소 속도가 가장 완만한 광역자치단체로는 울산시가 꼽혔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원은 통계청의 인구 변화 전망(2015~2040년)과 15~49세 가임 여성 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등 3개 인구 지표를 토대로 전국 229개 지방자치단체별 점수를 냈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승규 연구위원은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지자체를 나열하고 상위 25%씩 안정·검토·신중검토·위험 등 4등급으로 나눴다”며 “위험 등급으로 갈수록 인구 감소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시는 관내 군·구 16곳 중 9곳(약 56%)이 위험 지역에 포함돼 광역자치단체 중 인구 감소 문제가 가장 심각했다. 부산시 남구와 부산진구, 동래구, 동구, 중구, 금정구 등이 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부산시에 이어 경상남도(38.9%), 충청북도(36.4%), 경상북도(34.8%), 강원도(33.3%), 충청남도(33.3%) 순으로 위험 지역 비중이 높았다. 서울은 위험지역에 해당하는 자치구가 25곳 중 4곳(16%)으로 다른 광역자치단체보다 적었다. 위험지역에는 관악구와 종로구, 강북구, 중구가 꼽혔다.

울산시는 소속 군·구 5곳 가운데 4곳(80.0%)이 안정 지역으로 조사됐다. 울산에선 중구만 안정 지역에 들지 못했으나 검토 지역 수준으로 분류돼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울산시 다음으로는 경기도(58.1%), 대전시(40.0%) 순으로 안정 지역 비중이 컸다.

수도권은 전반적으로 안정 지역이 많았으나 비수도권에서는 위험·신중검토·검토 지역이 많았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은 전체 66곳 가운데 21곳(약 31.8%)이 안정 지역으로 분류됐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