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w&Biz] "육군 전투병 돕는 공군 조종사"…고문은 빅딜의 막후 해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반인은 잘 모르는' 로펌 고문의 세계
현장경험·네트워크 활용…변호사 송무·자문업무 지원
'로비스트' 시각 있지만 최근엔 전문성 인정받아
로펌의 중요한 축 자리 매김
현장경험·네트워크 활용…변호사 송무·자문업무 지원
'로비스트' 시각 있지만 최근엔 전문성 인정받아
로펌의 중요한 축 자리 매김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퇴임 후 대형 로펌에서 3년 가까이 총 10억원의 자문료를 받은 것이 알려지면서 로펌 고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로펌 변호사들이 실제 송무와 자문 업무를 맡는 ‘전투병’이라면 고위직 공무원 등을 거친 고문은 ‘지원병’에 비유된다. 현장에서 수년간 쌓은 경험과 지식, 풍부한 인적 네트워크 등을 앞세워 굵직한 ‘딜’을 막후에서 해결하는 것이 고문의 주요 임무다. 수백억원 또는 수천억원대 규모의 사업을 다루는 경우 고문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올라간다. 대형 로펌의 한 변호사는 “송 후보자의 말처럼 서민은 이해하기 어려운 로펌 고문들만의 세계가 있다”고 말한다.
◆경제 분석, 입법 지원 등으로 영역 확대
대형 로펌에서 활동하는 고문들은 정부 부처 출신이 대부분이다. 대기업과 금융회사 임원도 일부 포함된다. 고문은 변호사 자격은 없지만 행정부처나 재계에서 수십 년간 일해 전문성이 탁월하다. 사건 수임과 해결을 위한 ‘로비스트’로 보는 곱지 않은 시각도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경제 분석에서 입법지원, 공익활동까지 영역을 넓히며 로펌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로펌의 한 관계자는 “고난도의 전문 지식과 경험을 요하는 사건이 늘어나 더 이상 법률적 지식만으론 고객들의 복잡해지는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며 “오랜 기간 해당 분야에서 전문성을 닦아온 고문들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상당수 로펌은 고문을 특별 관리한다. 한국경제신문 법조팀이 상위 10개 로펌(변호사 수 기준)을 조사한 결과, 고문이나 전문위원 명목으로 명단을 홈페이지 등에 완전 공개한 로펌은 4개에 불과했다. 나머지 6개 로펌은 전문분야별 검색 등 일정 절차를 거쳐야 찾을 수 있다. 대형 로펌 출신인 한 변호사는 “특정 고문이 공개를 원하지 않으면 구성원 명단에서 빼기도 한다”고 말했다. 몇몇 로펌에는 일반에 공개하지 않은 채 은밀히 활동하고 있는 고문들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억대 연봉 기본…A급은 월 3000만원
고문직은 보통 ‘상임고문’과 ‘일반고문(비상임고문)’으로 나뉜다. 사안·개인별로 다르지만 정식 고용계약을 체결했느냐 안 했느냐가 기준이다. 일반 직원처럼 사무실에 매일 출근하는지 여부와 근무방식 등도 개인별로 다르다. 대개 상임고문은 사무실에 상시 출근해 변호사 등과 업무를 협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엔 필요할 때만 비정기적으로 조언해주거나 외부에서 로펌의 저변을 확대하는 대관 업무를 한다.
채용 시 타이틀과 연봉 등을 결정짓는 것은 개인의 ‘이름값’이다. 기관장 혹은 그에 상응하는 자리까지 지낸 경우엔 고문직이 주어지고, 국장급 이하 실무진에서 일한 경우엔 전문위원이라는 타이틀이 주어진다. 송 후보자처럼 월 3000만원을 받는 경우는 고문 중에서도 ‘A급’으로 분류된다. 6~7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한 대형 로펌 소속 변호사는 “우리 로펌 고문들은 월평균 2000만원을 받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법조계 안팎에선 ‘비용이 아깝지 않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이들의 네트워크가 발휘되면 천문학적 금액의 사건을 수임하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 대형 로펌이 정부 고위직 출신 고문을 앞세워 경쟁 로펌이 수주한 해외 자동차회사의 쟁송 사건을 중도에 가져간 일이 법조계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경제부처 출신 인기 ‘상한가’
10대 로펌 가운데 고문이 없는 동인을 제외한 9개 로펌의 공개된 고문 수는 145명으로 조사됐다. 6대 대형 로펌에 126명이 소속돼 있다.
로펌의 주요 고객이 기업인 만큼 경제부처 출신이 가장 많다.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경제 관련 공무원 출신은 72명으로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김용덕 전 금감원장(광장), 권혁세 전 금감원장(율촌),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지평), 임주재 전 금감원 부원장(김앤장) 등이 대표적이다.
경제부처 출신 중에는 국세청과 관세청 등 세무 관련 전문가가 21명 포함됐다. 화우가 작년 김덕중 전 국세청장을 영입한 것을 비롯해 서영택 전 국세청장·김기인 전 관세청장(김앤장), 윤영선 전 관세청장(광장), 이건춘 전 국세청장(태평양) 등이 포진해 있다.
이상엽 기자 lsy@hankyung.com
◆경제 분석, 입법 지원 등으로 영역 확대
대형 로펌에서 활동하는 고문들은 정부 부처 출신이 대부분이다. 대기업과 금융회사 임원도 일부 포함된다. 고문은 변호사 자격은 없지만 행정부처나 재계에서 수십 년간 일해 전문성이 탁월하다. 사건 수임과 해결을 위한 ‘로비스트’로 보는 곱지 않은 시각도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경제 분석에서 입법지원, 공익활동까지 영역을 넓히며 로펌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로펌의 한 관계자는 “고난도의 전문 지식과 경험을 요하는 사건이 늘어나 더 이상 법률적 지식만으론 고객들의 복잡해지는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며 “오랜 기간 해당 분야에서 전문성을 닦아온 고문들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상당수 로펌은 고문을 특별 관리한다. 한국경제신문 법조팀이 상위 10개 로펌(변호사 수 기준)을 조사한 결과, 고문이나 전문위원 명목으로 명단을 홈페이지 등에 완전 공개한 로펌은 4개에 불과했다. 나머지 6개 로펌은 전문분야별 검색 등 일정 절차를 거쳐야 찾을 수 있다. 대형 로펌 출신인 한 변호사는 “특정 고문이 공개를 원하지 않으면 구성원 명단에서 빼기도 한다”고 말했다. 몇몇 로펌에는 일반에 공개하지 않은 채 은밀히 활동하고 있는 고문들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억대 연봉 기본…A급은 월 3000만원
고문직은 보통 ‘상임고문’과 ‘일반고문(비상임고문)’으로 나뉜다. 사안·개인별로 다르지만 정식 고용계약을 체결했느냐 안 했느냐가 기준이다. 일반 직원처럼 사무실에 매일 출근하는지 여부와 근무방식 등도 개인별로 다르다. 대개 상임고문은 사무실에 상시 출근해 변호사 등과 업무를 협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엔 필요할 때만 비정기적으로 조언해주거나 외부에서 로펌의 저변을 확대하는 대관 업무를 한다.
채용 시 타이틀과 연봉 등을 결정짓는 것은 개인의 ‘이름값’이다. 기관장 혹은 그에 상응하는 자리까지 지낸 경우엔 고문직이 주어지고, 국장급 이하 실무진에서 일한 경우엔 전문위원이라는 타이틀이 주어진다. 송 후보자처럼 월 3000만원을 받는 경우는 고문 중에서도 ‘A급’으로 분류된다. 6~7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한 대형 로펌 소속 변호사는 “우리 로펌 고문들은 월평균 2000만원을 받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법조계 안팎에선 ‘비용이 아깝지 않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이들의 네트워크가 발휘되면 천문학적 금액의 사건을 수임하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 대형 로펌이 정부 고위직 출신 고문을 앞세워 경쟁 로펌이 수주한 해외 자동차회사의 쟁송 사건을 중도에 가져간 일이 법조계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경제부처 출신 인기 ‘상한가’
10대 로펌 가운데 고문이 없는 동인을 제외한 9개 로펌의 공개된 고문 수는 145명으로 조사됐다. 6대 대형 로펌에 126명이 소속돼 있다.
로펌의 주요 고객이 기업인 만큼 경제부처 출신이 가장 많다.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경제 관련 공무원 출신은 72명으로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김용덕 전 금감원장(광장), 권혁세 전 금감원장(율촌),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지평), 임주재 전 금감원 부원장(김앤장) 등이 대표적이다.
경제부처 출신 중에는 국세청과 관세청 등 세무 관련 전문가가 21명 포함됐다. 화우가 작년 김덕중 전 국세청장을 영입한 것을 비롯해 서영택 전 국세청장·김기인 전 관세청장(김앤장), 윤영선 전 관세청장(광장), 이건춘 전 국세청장(태평양) 등이 포진해 있다.
이상엽 기자 l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