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여행비 지출 전망 지수가 200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소비자동향조사에서 여행비 지출 전망지수(CSI)는 지난해 말보다 9포인트 상승한 98로 조사됐다.

이는 월별 지수가 나온 2008년 7월 이래 최고치이며 그 이전에 분기별로 지수를 내던 시기까지 고려하면 2002년 3분기(98) 이래 최고치다.

2000년대 이래 여행비 지출 전망이 100을 넘은 것은 월드컵이 있던 2002년 1분기와 2분기가 유일하다.

6월 교양·오락·문화생활비 지출 전망 지수는 92, 내구재 지출 전망은 96으로 작년 말보다 각각 6포인트 올라갔다.

외식비 지출 전망은 93으로 5포인트, 의류비 지출 전망은 101로 4포인트 상승했다. 의류비 항목은 지난해 11월에 100아래로 떨어졌다가 6개월 만인 4월에 다시 회복했다.

반면 교육비와 교통·통신비 지출 전망 지수는 각각 106과 108로 모두 100을 넘지만 작년 말에 비하면 각각 2포인트 하락했다. 의료·보건비 지출 전망 지수는 110으로 가장 높았지만 작년 말보다는 1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민간 소비에 1분기 선행하는 경향이 있어 하반기에는 소비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예산정책처는 소비심리의 상승세가 하반기 소비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1.1로 2011년 1월(111.4) 이후 6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고령화, 주거비 상승, 가계부채 증가 등 구조적 요인으로 민간소비가 추세적 하락하는 모습은 제약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