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칼럼] 중소기업 위한 추경, 실기하면 안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술혁신형 1만8천 이노비즈기업
매년 3만개 창출 '일자리 화수분'
투자 돕기 위해 추경 지원 서둘러야
성명기 < 이노비즈협회장 여의시스템 대표 >
매년 3만개 창출 '일자리 화수분'
투자 돕기 위해 추경 지원 서둘러야
성명기 < 이노비즈협회장 여의시스템 대표 >
![[biz 칼럼] 중소기업 위한 추경, 실기하면 안돼](https://img.hankyung.com/photo/201706/AA.14201176.1.jpg)
이노비즈기업은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경영 성과는 일반 중소제조업의 세 배가 넘고, 절반이 넘는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있다. 수출액은 중소기업 전체의 약 40%를 책임지고 있다. 기술혁신 역량을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의 중심 기업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소비 등 내수는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다. 저소득층 소득 감소, 소득분배 악화, 고용·기업 양극화 등으로 체감경기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청년 실업률이 2013년 이후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최근 3개월간 청년 체감실업률은 24%나 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최근 11조2000억원 규모의 일자리 추경 예산안을 편성했다. 추경이 집행되면 11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민간 일자리 확대와 일자리 여건 개선을 위해 마련된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책은 우리 중소기업, 특히 이노비즈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시의적절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난 10일 제출된 추경 예산안은 아직 국회에 머물러 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세 차례 추경은 평균 24.7일 만에 국회를 통과했다고 한다. 국민의 소중한 세금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한 엄격한 심사도 중요하지만 ‘추경의 생명은 타이밍’이라는 각계각층의 목소리도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중소기업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중소벤처기업부 승격에 대한 정부조직법안도 국회 통과를 기다리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되면 입법 능력을 갖출 수 있어 중소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가 커질 것이고, 이는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최악의 청년 실업률로 오랜 갈증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 경제도 단비 같은 소식을 기다리고 있다. 추경 및 정부조직법안이 하루빨리 통과돼 우리 이노비즈기업도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성명기 < 이노비즈협회장 여의시스템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