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나홀로 해외여행객' 범죄주의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남아지역 관광지 범죄 기승
필리핀은 남성 상대 '성(性)접근' 주의
필리핀은 남성 상대 '성(性)접근' 주의
라오스의 유명 관광지인 루앙프라방의 꽝시폭포에서 지난 5월22일 홀로 여행하던 한국인 여행객 A씨(33)가 실종됐다. 그날 오전 꽝시폭포로 나선 A씨가 돌아오지 않자 숙소 직원이 현지 경찰에 신고했다. 현지 경찰은 한 달 이상 대규모 수색을 벌이고 있지만 폐쇄회로TV(CCTV)가 없고 휴대폰 위치 추적도 촘촘하지 않아 수색은 난항을 겪고 있다.
‘나홀로 여행객’이 늘자 이를 대상으로 한 범죄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30일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일어난 범죄는 △절도 6910건 △강도 180건 △강간 57건 △살인 19건 등이다. 해외 동포를 대상으로 한 범죄도 있지만 여행객을 노리는 범죄도 만만찮다는 설명이다.
6월 초 혼자 인도네시아 여행을 떠난 20대 B씨는 저녁 무렵 호텔 근처에 물건을 사러 갔다가 봉변을 당했다. 현지인으로 추정되는 범인 두 명이 B씨의 등을 칼로 찌른 뒤 휴대전화 등을 빼앗아 도망간 것이다. 지난 3월에는 중국에 여행간 한국인 남성 한 명이 중국인 6~7명에게 집단 구타를 당한 사건도 일어났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반한 감정이 커지며 범죄의 표적이 된 것이다.
필리핀은 남자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많다. 이른바 ‘셋업’이다. 현지 여성이 현지 경찰과 모의해 여행객에게 접근한 뒤 강간을 당했다거나 미성년자 성매매라고 주장하며 신고한 뒤 합의 명목으로 금품을 갈취한다. 인스타그램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필리핀의 좋은 곳을 소개하겠다’며 접근하는 사례가 최근 늘었다.
경찰은 동행이 있을 때 범죄 피해 가능성이 급격히 낮아진다고 설명한다. 또 해외여행 전에 외교부나 현지 한국대사관 홈페이지에서 사건사고 담당자 연락처를 확보해 두라는 게 경찰 조언이다. 특히 중국처럼 외교적 마찰이 있는 나라를 찾을 때는 현지인과 불필요한 논쟁은 금물이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
‘나홀로 여행객’이 늘자 이를 대상으로 한 범죄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30일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일어난 범죄는 △절도 6910건 △강도 180건 △강간 57건 △살인 19건 등이다. 해외 동포를 대상으로 한 범죄도 있지만 여행객을 노리는 범죄도 만만찮다는 설명이다.
6월 초 혼자 인도네시아 여행을 떠난 20대 B씨는 저녁 무렵 호텔 근처에 물건을 사러 갔다가 봉변을 당했다. 현지인으로 추정되는 범인 두 명이 B씨의 등을 칼로 찌른 뒤 휴대전화 등을 빼앗아 도망간 것이다. 지난 3월에는 중국에 여행간 한국인 남성 한 명이 중국인 6~7명에게 집단 구타를 당한 사건도 일어났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반한 감정이 커지며 범죄의 표적이 된 것이다.
필리핀은 남자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많다. 이른바 ‘셋업’이다. 현지 여성이 현지 경찰과 모의해 여행객에게 접근한 뒤 강간을 당했다거나 미성년자 성매매라고 주장하며 신고한 뒤 합의 명목으로 금품을 갈취한다. 인스타그램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필리핀의 좋은 곳을 소개하겠다’며 접근하는 사례가 최근 늘었다.
경찰은 동행이 있을 때 범죄 피해 가능성이 급격히 낮아진다고 설명한다. 또 해외여행 전에 외교부나 현지 한국대사관 홈페이지에서 사건사고 담당자 연락처를 확보해 두라는 게 경찰 조언이다. 특히 중국처럼 외교적 마찰이 있는 나라를 찾을 때는 현지인과 불필요한 논쟁은 금물이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