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어난 가계부채로 인한 급격한 소비 위축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은퇴를 앞둔 55세 이상이 속한 가구를 대상으로 소득·소비 현황을 분석해 3일 이같이 발표했다. 가계부채 급증이 이른바 ‘소비 절벽’으로 이어진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다른 주장이다. 올 1분기 말 기준 가계부채 규모는 사상 최대 수준인 약 1360조원에 달하고 있다. 한경연은 “부채 증가에 따른 자산 증식 효과가 더 커 부채 규모가 직접적으로 소비를 위축시키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경연의 분석에 따르면 은퇴 예정 가구의 소득은 2001년 대비 2015년에 94.51% 증가하고 소비는 90.51% 늘었다. 이 기간 저축은 78.32% 늘었다. 한경연의 의뢰로 이번 연구를 진행한 정원일 유안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부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상환에 대한 크기 변화가 거의 없었다”며 “가구가 부채의 증가를 통한 자산 증식을 도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이어 “한국 경제에서 우려하고 있는 가채부채의 총량적 이슈를 일반화시키기엔 무리가 있다”면서도 “가계부채 총량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건 사실이라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은퇴 자체가 소비를 크게 위축시키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왔다. 소비 위축이 아닌 소비 형태의 변화를 야기한다는 의미다. 한경연은 “자산 효과 덕분에 은퇴 후 자산 규모가 커지면 은퇴 전까지 지출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자녀 교육과 노후 대비 연금·보험 지출이 줄고 여가 생활과 건강관리 분야로 소비가 이동한다”고 설명했다.

정 이코노미스트는 “은퇴 가구주의 연령이 낮을수록 재취업에 나서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은퇴 후 노동시장으로 재진입은 자산과 부채 규모보다 육체적 조건 등 선호에 따른 선택”이라고 해석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