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 87% "초·중교사, 지방직 공무원화 반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윤수 교총회장 취임 1년…새 교육정책 설문결과 발표
내신·수능 절대평가 찬반 엇갈려…교장공모제 확대 65%가 '부정적'
내신·수능 절대평가 찬반 엇갈려…교장공모제 확대 65%가 '부정적'
초·중·고교 현장 교사들이 유·초·중등교육을 중앙정부에서 시·도교육청으로 이양하는 정책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원 신분의 지방공무원직 전환에는 대다수 교사가 반대했다.
하윤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사진)은 4일 서울 중구 흥국생명빌딩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하고 “김상곤 신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쟁점이 되는 교육정책의 경우 일방적으로 추진할 게 아니라 ‘국가교육회의’에서 합의해 시행하도록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교총은 전국 초·중·고 교사 2077명을 대상으로 한 ‘새 정부 주요 교육공약에 대한 교원 인식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15%포인트) 결과를 공개했다. ‘교육자치’ 실현 방안으로 문재인 정부가 제시한 유·초·중등교육의 시·도교육청 이양은 교사의 55.5%가, 교원 신분의 지방직화는 무려 87.9%가 반대했다. 시·도 간 교육 격차가 벌어지고 교사 신분이 불안정해질 것으로 교사들은 전망했다. 교장공모제 확대에도 65.1%가 부정적 의견을 냈다. 전문성 부족, 교단의 정치화가 걱정된다는 이유에서다.
정부 교육정책 가운데 관심이 쏠리는 수능과 내신 절대평가에는 찬반이 엇갈렸다. 교사 51.9%가 수능 절대평가에, 내신 절대평가에는 55%가 찬성했다. 반대 여론도 만만찮았다. 수능 절대평가는 교사의 39.8%, 내신 절대평가는 37.1%가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하 회장은 “수능·내신 절대평가의 방향성과 취지에는 공감하나 당장 내신까지 절대평가로 전환하면 입시 변별력 확보가 어렵고, 대학의 새로운 전형 도입으로 인한 사교육비 증가나 성적 부풀리기 우려가 있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하 회장은 또 “교총은 자율형사립고·외국어고 일괄 폐지를 반대한다. 설립 취지에 어긋난 입시학원화 문제가 있다면 폐지보다는 수정·보완해나갈 사안”이라고 밝혔다. 전국교직원노조 합법화와 관련해서는 “전교조는 함께 가야 할 교원단체지만 법외노조임을 감안해 대법원 판결에 따라 협의해나가겠다”고 했다.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하윤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사진)은 4일 서울 중구 흥국생명빌딩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하고 “김상곤 신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쟁점이 되는 교육정책의 경우 일방적으로 추진할 게 아니라 ‘국가교육회의’에서 합의해 시행하도록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교총은 전국 초·중·고 교사 2077명을 대상으로 한 ‘새 정부 주요 교육공약에 대한 교원 인식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15%포인트) 결과를 공개했다. ‘교육자치’ 실현 방안으로 문재인 정부가 제시한 유·초·중등교육의 시·도교육청 이양은 교사의 55.5%가, 교원 신분의 지방직화는 무려 87.9%가 반대했다. 시·도 간 교육 격차가 벌어지고 교사 신분이 불안정해질 것으로 교사들은 전망했다. 교장공모제 확대에도 65.1%가 부정적 의견을 냈다. 전문성 부족, 교단의 정치화가 걱정된다는 이유에서다.
정부 교육정책 가운데 관심이 쏠리는 수능과 내신 절대평가에는 찬반이 엇갈렸다. 교사 51.9%가 수능 절대평가에, 내신 절대평가에는 55%가 찬성했다. 반대 여론도 만만찮았다. 수능 절대평가는 교사의 39.8%, 내신 절대평가는 37.1%가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하 회장은 “수능·내신 절대평가의 방향성과 취지에는 공감하나 당장 내신까지 절대평가로 전환하면 입시 변별력 확보가 어렵고, 대학의 새로운 전형 도입으로 인한 사교육비 증가나 성적 부풀리기 우려가 있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하 회장은 또 “교총은 자율형사립고·외국어고 일괄 폐지를 반대한다. 설립 취지에 어긋난 입시학원화 문제가 있다면 폐지보다는 수정·보완해나갈 사안”이라고 밝혔다. 전국교직원노조 합법화와 관련해서는 “전교조는 함께 가야 할 교원단체지만 법외노조임을 감안해 대법원 판결에 따라 협의해나가겠다”고 했다.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