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준 배…당도 최고 1브릭스 높아
국순당 대표 직접 찾아가 양조법 배워
한해 350t 수확…7억~8억원 수익
1973년 지금의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백화점 자리(당시엔 성동구). 스물여섯 살 청년은 이곳에 있는 1만6500㎡(5000여 평) 규모 과수원에서 배 농사를 짓고 있었다. 할아버지 때부터 이어진 과일 농사다. 아홉 살 때 아버지를 여읜 이 청년은 과수원을 키우고 싶었다. 이 땅을 3.3㎡(평)당 1만7000원에 팔아 그 돈으로 경기 화성시 비봉면 땅 6만6000여㎡(2만여 평)를 샀다. 가족이 모두 화성으로 이사했다. 국내 대표적 ‘배 명인(名人)’인 이윤현 현명농장 대표(70·사진)의 배 농사 이야기 출발점이다.
매년 막걸리 22t을 빚는다
지난달 말 서해안고속도로 비봉나들목을 빠져나와 500m가량 달리자 현명농장 간판이 눈에 들어왔다. 농장엔 이층집 옆으로 배 저장고와 가공공장 등이 있다. 집 뒤로는 7만2600여㎡(2만2000여 평)의 과수원이 펼쳐져 있다. 2200여 그루 배나무가 자라는 곳이다. 이 농장은 국내 최고 품질의 배가 생산되는 곳으로 꼽힌다. 2009년 농촌진흥청이 선정하는 최고농업기술명인 과수분야 명인으로 뽑혔다.
이 대표는 배 농사를 통해 매년 7억~8억원의 매출을 올린다. 해마다 350여t가량의 배를 수확한다. 이 중 10%는 대만 베트남 등 외국에 수출한다. 이 대표의 배나무 사랑은 남다르다. 그의 배나무는 매년 그루당 10L가량의 막걸리를 마신다. 이 대표는 매년 22t의 막걸리를 담는다. 이뿐만 아니다. 그는 가축 분뇨 비료를 주지 않는다. 대신 쌀겨와 깻묵, 배즙, 골분·혈분·어분, 활성탄 등을 섞은 수제 퇴비를 만들어 쓴다. 천연 재료로 만든 퇴비를 주면 배맛이 더 좋아질 뿐 아니라 토양 오염도 막는다는 설명이다. 그는 “사람이 못 먹는 건 배나무에도 주지 않는다”며 “그게 고품질 배를 재배하는 비결”이라고 말했다.
특히 배나무에 막걸리를 주는 건 배의 단맛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이 대표는 설명했다. 막걸리를 퇴비로 주면 당도가 0.5~1브릭스(brix·단맛의 단위)가량 올라간다는 얘기다. 지인이 소나무에 퇴비로 막걸리를 주는 걸 보고 30여 년 전부터 이 방법을 이어오고 있다.
“막걸리 만드는 걸 배우려고 국순당을 창업한 배상면 대표를 찾아갔어요. 저와 아내가 2주 동안 머물면서 배웠죠.”
출원한 특허만 43개
그는 ‘화성 농업계의 에디슨’으로 불린다. 배 농사와 관련해 출원한 특허와 실용신안이 43건에 달한다. 정규 교육과정으로는 중학교 졸업이 전부지만 농업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학 공부까지 꾸준히 했다. 배를 감싸는 배 봉지 입구에 필터를 붙여 농약과 먼지, 해충 등이 들어가는 걸 막는 ‘친환경 필터 과일 보호용 봉지’, 배 저장고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저온저장고 열감지 환기자동화시스템’ 등이 그의 대표적인 발명품이다.
나무와 대화하는 칠순 농부
이 대표의 집 옆에 펼쳐진 과수원을 함께 걸었다. 열매마다 배봉지로 싸여 있는 나뭇가지들이 서로 얽혀 나무터널을 이루고 있다. 이 대표가 걸음을 멈추고 한 나무를 가리켰다. 그가 ‘부잣집 맏며느리’라고 부르는 나무다. 다른 나무보다 키가 크고 줄기도 굵었다. “이 나무를 보면 배나무가 진짜로 사람 말을 알아듣는구나 하는 느낌이 들어요. 다른 나무보다 항상 크고 좋은 열매가 많이 열려서 농장에 사람이 찾아올 때마다 보여주면서 자랑했는데 그래서인지 40년 넘는 세월 동안 수확이 좋지 않았던 적이 한 번도 없어요.”
하이트진로가 매출, 영업이익 등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주요 제품군의 시장 점유율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 위주 경영을 하느라 마케팅 비용을 확 줄인 영향이다.9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지난해 매출 2조5992억원, 영업이익 2209억원을 올렸다. 전년 대비 매출은 3.1%, 영업이익은 78.3% 늘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광고선전비 등 판매관리비 감소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하이트진로는 2023년 4월 켈리 출시 이후 마케팅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었다. 2023년 하이트진로의 광고선전비는 2458억원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그 여파로 그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35% 줄었다. 문제는 작년부터 마케팅 비용을 축소하면서 테라와 켈리 점유율이 동시에 줄고 있다는 점이다.켈리는 지난해 가정용 맥주 시장 점유율이 4.9%로, 출시 첫해인 전년(5.1%)보다 하락했다. 회사가 체감하는 하락폭은 이보다 더 크다. 2023년 점유율 5.1%는 켈리 출시 전인 1분기 판매량이 포함된 수치이기 때문이다. 단일 국내 맥주 브랜드론 최단기간(36일)에 100만 상자(330mL 기준 3000만 병)를 넘긴 기세는 확 꺾였다.테라의 점유율도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다. 한때 15%를 넘었던 테라 점유율은 지난해 10%로 떨어졌다. 켈리 출시 당시부터 제기된 ‘캐니벌라이제이션’(신제품이 기존 주력 제품 시장 잠식)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하이트진로의 전체 가정용 시장 점유율(필라이트 포함)도 2023년 28.7%에서 지난해 25.6%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오로지 카스에 집중해온 오비맥주의 점유율은 36.2%에서 39%로 높아졌다.하이트진로는 도수가 낮은 ‘라이트’, 알코올이 없는 ‘논알코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하고 ㈔한국브랜드경영협회가 후원하는 ‘2025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을 공모합니다. 올해로 21회째인 이 상은 품질과 기능, 디자인, 마케팅, 서비스 등을 통해 대중적이며 차별화한 명품 브랜드를 발굴하고 국내 소비 수준을 향상함으로써 긍정적인 소비 촉진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자는 취지로 제정됐습니다.●시상 부문: 소비재, 내구재, 서비스, 기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응모 마감: 3월 7일(금)●심사 방법: 명품 브랜드 특성 평가(KPB-CV)와 명품 고객평가(KPB-CRI) 점수 등을 토대로 전문가 10명 안팎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평가●시상식: 3월 27일(목), 서울 태평로 더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접수 및 문의: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 운영사무국 (02)365-4900주최: 한국경제신문후원: (사)한국브랜드경영협회주관: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 운영사무국
2TB(테라바이트). 사람이 잠을 자지 않고 온종일 글을 읽어도 약 3000년이 걸릴 정도의 데이터 양이다. 인공지능(AI) 기업 솔트룩스는 25년간 이 같은 자체 데이터를 축적해 대규모언어모델(LLM) ‘루시아’를 개발한 회사다. 여러 AI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두뇌를 보유했다는 뜻이다.이경일 솔트룩스 대표(사진)는 “2020년 기업공개(IPO) 이후 이어진 공격적인 투자가 올해 결실을 볼 것”이라며 “흑자 전환에 이어 저비용 고효율 AI를 앞세워 전 세계로 뻗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3분기까지 영업적자를 냈지만 4분기에 AI 서비스 판매가 늘면서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솔트룩스의 핵심 제품은 루시아를 통해 구현한 AI 에이전트 서비스 ‘구버’다. 솔트룩스 미국법인 구버가 지난해 7월 선보인 이 서비스는 AI가 스스로 자료 탐색과 내용 요약, 보고서 작성 등의 업무를 해내는 게 주요 기능이다. 현재까지 사용 건수 5만 건이 넘었다. 유료화 모델도 다음달 공개할 계획이다.이 대표는 “유료화 모델에는 각 사용자가 AI로 만든 리포트를 판매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라며 “올 연말까지 최소 10만 명 이상이 구독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기존의 무료 모델과 더하면 사용자가 300만 명에 달할 것이라는 목표도 내놨다. 그는 “AI의 할루시네이션(환각) 현상도 1% 미만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자회사 플루닛의 가상 인간 영상 생성 서비스 ‘플루닛 스튜디오’도 키운다.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로 수익을 본격화하겠다는 취지다. 서비스명도 ‘젠웨이브’로 바꿔 음악이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