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과정에서 지원자의 학력, 출신 지역, 신체 조건 등을 보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달 332개 공공기관 전체가 블라인드 채용에 들어간다. 다음달에는 149개 지방공기업에서도 시행한다. 행정자치부는 고삐를 죄고 있다. 9월부터 663개에 달하는 지방 공공기관 모두 블라인드 채용을 확대 시행하는 내용의 가이드라인을 지난 12일 배포했다.

블라인드 채용이 현실화되자 이를 둘러싼 논쟁이 대학가 핫이슈로 떠올랐다. 학력이 주요 쟁점이다. 특히 명문대생들의 불만이 크다. “학벌도 실력이며 노력의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무조건 학력을 배제하는 건 도리어 ‘역차별’이라는 반론이 만만찮다.

입사 지원서의 전자우편 기재란에 학교명이 들어간 이메일 주소를 적자는 얘기까지 나왔다. ‘@yonsei.ac.kr’(연세대), ‘@korea.ac.kr’(고려대) 등 학교 계정 메일이 출신 학교를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캠퍼스 안에 있는 기숙사 주소를 적거나 직무 관련 내용을 서술하면서 학교명이 포함된 동아리 이름을 쓰면 된다는 ‘팁’도 이들 대학 학생 커뮤니티에 등장했다.

이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고 했다. 블라인드 채용에다 ‘지역인재 채용할당제’까지 있기 때문이다. 형평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거세다.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은 공공기관 본사 이전 지역에 있는 대학 졸업자를 신규 채용 인원의 30% 이상 선발하도록 하고 있다.

지방대생들은 반기는 분위기다. 편견 없이 평가받을 수 있게 됐다는 기대가 크다. 충남지역 대학 재학생 조모씨(23)는 “학벌보다 능력을 보고 뽑겠다는 취지에 적극 찬성한다”고 했다. 같은 대학 김모씨(23)도 “지원자의 출신 학교에 대한 편견으로 지원자를 떨어뜨리는 일은 사라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긴 호흡으로 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수도권 쏠림 현상 해결과 지역 균형 발전 측면에서 블라인드 채용은 ‘가야 할 길’이라는 주장이다. 이상민 한양대 경영대학 교수는 “큰 방향성은 지방 자립, 수도권 편중 완화”라고 짚었다. 명문대 학벌로 얻는 네트워크 자체가 ‘보이지 않는 인센티브’라는 비판도 나왔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이메일, 거주지, 동아리 등에 학력을 암시하는 내용을 기재하는 데 대해 “평가에 전혀 반영되지 않는 무의미한 행위”라고 일축했다. 정부는 블라인드 채용을 공공 부문부터 도입한 뒤 민간 기업 확산을 유도해나가기로 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