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업률 떨어져도 물가 안 올라…'필립스 곡선' 무용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상은 기자의 Global insight
통화정책의 주요 판단 근거
이론과 다르게 움직여
경제학자들 고민 깊어져
통화정책의 주요 판단 근거
이론과 다르게 움직여
경제학자들 고민 깊어져
경제학 교과서는 오랫동안 실업률이 오르면 물가가 떨어지고, 실업률이 떨어질 때는 물가가 오른다는 내용의 필립스 곡선을 정설로 가르쳐 왔다. 주요 중앙은행들은 대부분 이 이론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고용지표와 물가상승률을 통화정책의 주요 판단 근거로 삼는다.
하지만 학계와 금융가에서는 필립스 곡선이 작동하지 않은 지 오래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는 중이다. 단적인 예가 미국 실업률이다. 2009년에는 10%를 넘었던 미국 실업률은 최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추정하는 자연실업률 아래인 4.3%까지 떨어졌다. 한데 이 기간 물가상승률은 거의 1~2% 사이를 오락가락하는 중이다. ‘필립스 곡선이 누웠다(실업률이 떨어져도 물가가 안 오른다)’고 하는 이유다. 이러다간 필립스 가로선이 될 판이다.
이런 가운데 필립스 곡선의 신봉자인 재닛 옐런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미래 물가 상승에 대비하는 ‘선제적 조치’라고 밝혔다. 실업률이 이처럼 떨어졌으니 오랫동안 묶여있던 물가도 곧 오를 테고, 그때를 대비해야 한다는 취지다. Fed가 양적 긴축 신호까지 보내면서 유럽중앙은행(ECB)과 영국 중앙은행(BOE), 캐나다 중앙은행(BOC) 등도 잇달아 긴축 기조로 돌아서고 있다.
필립스 곡선이 누운 지는 꽤 됐지만, 이것이 Fed의 양적 긴축으로 대표되는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선회까지 불러오자 필립스 곡선을 차라리 거론하지 말자는 주장도 거세지고 있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달 옐런 의장의 선제적 조치를 비판하며 물가가 본격적으로 오를 기미가 있을 때 중앙은행이 대응하는 쪽이 낫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필립스 곡선이 왜 누웠는지 그게 알쏭달쏭하다는 점이다. 일본 중앙은행(BOJ)은 지난해 내놓은 보고서에서 세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첫째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예측가능해지면서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 둘째는 물가에 영향을 줄 만큼 실업률이 충분히 떨어지지 않았다는 것, 셋째는 세계화 등으로 시장의 성격이 크게 바뀌었다는 것이다.
원인을 무엇으로 꼽느냐에 따라 처방전도 달라진다. 첫째가 원인이라면 중앙은행이 물가상승률을 정책 목표로 삼는 것의 신뢰도가 좀 떨어지지만 그럭저럭 넘어갈 일이다. 둘째가 원인이라면 그냥 기다리면 된다. 1960년대 후반 미국 실업률이 4% 아래로 떨어졌을 때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1965년 11월 물가상승률은 1.4%(전년 동기 대비)였는데 1년 후 3.2%가 됐고 1970년까지 5% 수준으로 치솟았다. 옐런 의장이 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리자고 할 때 염두에 두는 시나리오일 것이다.
셋째가 원인이라면 골치가 아파진다. 중앙은행, 나아가 개별 국가가 이 문제에 손을 쓰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물가가 오르지 않는 게 왜 나쁘냐고 할지도 모르지만,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이 떨어질 때 ‘임금이 올라서’ 물가가 오른다는 이론이다. 이 곡선이 작동하지 않는 것은 달리 보면 임금이 오르지 않는다는 뜻이고, 더 나쁘게 상황을 본다면 ‘좋은 일자리’가 안 생긴다는 얘기다. 세계화로 인해 저임금 국가 노동자와 경쟁해야 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자동화 등으로 로봇에 일자리를 빼앗긴 결과일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개별 국가는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
BOJ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일시적인 요인의 영향도 존재한다. 2014년 하반기부터 지속된 유가 등 에너지 가격 하락과 지난해 미국 통신사들의 데이터 통신료 인하 등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지난 1년간 이런 요인이 없었다면 미국 물가상승률이 0.2%포인트 더 높아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실제 필립스 곡선이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장기적인 관점에선 아직 유효한지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여전하다. 좀 더 시간이 지나야 분명해질 것이다. 경제학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하지만 학계와 금융가에서는 필립스 곡선이 작동하지 않은 지 오래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는 중이다. 단적인 예가 미국 실업률이다. 2009년에는 10%를 넘었던 미국 실업률은 최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추정하는 자연실업률 아래인 4.3%까지 떨어졌다. 한데 이 기간 물가상승률은 거의 1~2% 사이를 오락가락하는 중이다. ‘필립스 곡선이 누웠다(실업률이 떨어져도 물가가 안 오른다)’고 하는 이유다. 이러다간 필립스 가로선이 될 판이다.
이런 가운데 필립스 곡선의 신봉자인 재닛 옐런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미래 물가 상승에 대비하는 ‘선제적 조치’라고 밝혔다. 실업률이 이처럼 떨어졌으니 오랫동안 묶여있던 물가도 곧 오를 테고, 그때를 대비해야 한다는 취지다. Fed가 양적 긴축 신호까지 보내면서 유럽중앙은행(ECB)과 영국 중앙은행(BOE), 캐나다 중앙은행(BOC) 등도 잇달아 긴축 기조로 돌아서고 있다.
필립스 곡선이 누운 지는 꽤 됐지만, 이것이 Fed의 양적 긴축으로 대표되는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선회까지 불러오자 필립스 곡선을 차라리 거론하지 말자는 주장도 거세지고 있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달 옐런 의장의 선제적 조치를 비판하며 물가가 본격적으로 오를 기미가 있을 때 중앙은행이 대응하는 쪽이 낫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필립스 곡선이 왜 누웠는지 그게 알쏭달쏭하다는 점이다. 일본 중앙은행(BOJ)은 지난해 내놓은 보고서에서 세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첫째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예측가능해지면서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 둘째는 물가에 영향을 줄 만큼 실업률이 충분히 떨어지지 않았다는 것, 셋째는 세계화 등으로 시장의 성격이 크게 바뀌었다는 것이다.
원인을 무엇으로 꼽느냐에 따라 처방전도 달라진다. 첫째가 원인이라면 중앙은행이 물가상승률을 정책 목표로 삼는 것의 신뢰도가 좀 떨어지지만 그럭저럭 넘어갈 일이다. 둘째가 원인이라면 그냥 기다리면 된다. 1960년대 후반 미국 실업률이 4% 아래로 떨어졌을 때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1965년 11월 물가상승률은 1.4%(전년 동기 대비)였는데 1년 후 3.2%가 됐고 1970년까지 5% 수준으로 치솟았다. 옐런 의장이 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리자고 할 때 염두에 두는 시나리오일 것이다.
셋째가 원인이라면 골치가 아파진다. 중앙은행, 나아가 개별 국가가 이 문제에 손을 쓰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물가가 오르지 않는 게 왜 나쁘냐고 할지도 모르지만,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이 떨어질 때 ‘임금이 올라서’ 물가가 오른다는 이론이다. 이 곡선이 작동하지 않는 것은 달리 보면 임금이 오르지 않는다는 뜻이고, 더 나쁘게 상황을 본다면 ‘좋은 일자리’가 안 생긴다는 얘기다. 세계화로 인해 저임금 국가 노동자와 경쟁해야 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자동화 등으로 로봇에 일자리를 빼앗긴 결과일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개별 국가는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
BOJ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일시적인 요인의 영향도 존재한다. 2014년 하반기부터 지속된 유가 등 에너지 가격 하락과 지난해 미국 통신사들의 데이터 통신료 인하 등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지난 1년간 이런 요인이 없었다면 미국 물가상승률이 0.2%포인트 더 높아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실제 필립스 곡선이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장기적인 관점에선 아직 유효한지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여전하다. 좀 더 시간이 지나야 분명해질 것이다. 경제학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