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핵ㆍ신재생에너지 연구…연구경험상 탈원전정책 납득못해"

신고리 원자력 발전소 5·6호기 공사 일시중단을 결정한 14일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에서 에너지학과 교수 출신의 비상임이사가 유일하게 의결을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정훈 의원이 14일 한수원으로부터 받은 '제7차 이사회 개최 결과보고'에 따르면 이날 이사회에 참석한 13명의 이사(상임이사 6명+비상임이사 7명) 가운데 조성진 비상임이사(경성대 에너지학과 교수)가 안건에 반대했다.

조 이사는 이사회에 신고리 5·6호기 일시중단에 대한 반대의견서를 제출했다.

조 이사는 반대의견서에서 "지난 1983년 이래 지금까지 원자핵 전공의 교수로서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으며 원자핵 분야뿐 아니라 최근 20여년 간은 유기물 태양광 소자, CIGS 태양전지, 폐기물 재활용 및 에너지 회수, ESS(에너지저장장치) 등의 신재생에너지에 관해 연구해 SCI급 논문과 연구보고서 그리고 특허를 약 100여건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의 연구와 교육에서 얻은 경험에 의하면 현재 논의되고 있는 탈원전 정책은 납득할 수 없다"며 "신고리 5·6호기의 일시 중단과 향후 논의될 영구 중단에 반대함을 밝힌다"고 말했다.

한수원은 결과보고서에 "조 이사는 원자핵 전공 교수로서 원자핵 분야 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다수의 연구와 교육을 했다"며 "이 경험으로 신고리 5·6호기 일시중단과 향후 논의 가능성이 있는 연구 중단에 반대한다"고 기록했다.

조 이사는 연세대 물리학과 박사 출신으로 한국진공학회 부회장과 한국물리학회 실무이사 등을 지냈다.

조 이사는 비상임이사 가운데 유일한 에너지 분야 전공자다.

나머지 비상임이사 6명은 모두 비(非)이공계열 전공자다.

이들은 경제학, 영어학, 사회체육학 등을 전공했다.

이날 이사회에는 이사 총 13명 중 12명이 일시중단에 찬성해 한수원 이사회가 정부 정책 추진을 위한 '거수기' 역할을 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김동현 기자 blue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