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 매표소)영화진흥위원회가 `2017년 상반기 한국영화산업` 보고서를 발표했다.분석 결과 올해 1∼6월 3D·4D·아이맥스 전체 관객 수는 188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72만명(-28.0%) 줄었다.전체 매출액은 227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96억원(-29.7%) 감소했다.영진위는 "3D·4D·아이맥스에 적합한 흥행작 부족과 높은 관람 요금에 대한 거부감 그리고 인터넷(IP)TV 등 다양한 플랫폼의 성장으로 특수 상영에 대한 관심이 줄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실제로 상반기 개봉한 한국영화 중 3D·아이맥스 상영작은 한편도 없었고, 4D만 2편이 상영됐다. 외화는 3D 29편, 4D 29편, 아이맥스 18편이 상영됐다.올 상반기에도 `한국영화 약세, 외화 강세` 현상은 계속됐다.상반기 한국영화 관객 수는 4천162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220만명(5.0%↓) 감소했다.한국영화 점유율도 3.5%포인트 하락한 42.8%에 머물렀다. 관객 300만명을 넘긴 영화는 `공조`(782만명)와 `더 킹`(532만명) 2편에 불과했다.한국영화의 장르 편중도 심화했다. 한국영화 흥행 10위에 든 작품 중 범죄영화가 5편을 차지, 범죄영화로의 장르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반면, 외국영화 관객 수는 5천567만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486만명(9.6%) 증가했다.이는 한국영화가 여름 성수기에서 겨울 성수기로 이어지는 하반기에 역량을 집중하는 반면, 외국영화는 비수기를 공략하는 배급전략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상반기 전체 관객 수는 9천729만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266만명(2.8%) 늘었고, 극장 매출액은 7천836억원으로 259억원(3.4%)이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상반기 다양성 영화 흥행 순위를 보면 `터닝메카드W:블랙미러의 부활`(43만명)과 `눈의 여왕3:눈과 불의 마법대결`(36만6천명) 등 애니메이션이 나란히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극영화로는 미국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문라이트`가 17만7천명을 동원한 것이 최고 성적으로, 다양성 영화의 침체를 보여줬다.배급사별 관객 점유율은 `공조`, `조작된 도시`, `임금님의 사건수첩` 등 15편을 배급한 CJ E&M이 19.6%로 1위를 차지했다.이영호기자 hoya@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옥소리, 두 번째 남편과도 이혼…전 남편 박철 근황은?ㆍ탁현민 저서 또 파문…"고1때 첫 성경험, 친구들과 공유했던 여자"ㆍ8년전 정우성에 반한 일본 여배우 누군가 했더니ㆍ가인, "연예계 마약과의 전쟁" 물꼬 트나…경찰 `대마초 폭로` 수사 본격화ㆍ차유람♥이지성, 딸 위한 ‘100평’ 집 공개…‘40억 인세수입’ 히트작가의 위엄ⓒ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