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취임 일성은 "생산·포용적 금융"
최종구 신임 금융위원장(사진)이 ‘생산적 금융’과 ‘포용적 금융’을 금융정책의 핵심 목표로 정했다.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가계대출을 늘리는 데만 치중할 게 아니라 중소·벤처기업 금융 지원을 늘려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유도하겠다는 메시지다. 금융을 통해 서민·취약계층의 재기·재활을 돕는 정책을 펴겠다는 방향도 제시했다.

최 위원장은 19일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식을 하고 “금융은 경제를 흐르게 하는 강물과 같다”며 “경제 역동성을 막는 걸림돌은 과감히 걷어내고 생산적 부문, 서민·취약계층에 금융이 흘러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부 정책 방향으로는 ‘생산적 금융’을 제시했다. 최 위원장은 “부채를 늘려 단기 호황을 유도하는 소비적 금융은 더 이상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책금융부터 일자리 중심 지원체계로 개편하고 민간 은행 등에도 이를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기업금융보다 가계금융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영업을 지양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중소·벤처기업 등 혁신기업이 충분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금융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포용적 금융’도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금융에 요구되는 사회적 책임이 커지고 있다”며 “서민·취약계층 지원을 적극적으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또 “금융소비자를 오도해 쉬운 대출을 조장하는 부당 광고나 권유를 금지하겠다”며 “상환 능력이 없는 청년들에게 쉽게 돈을 빌려주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2금융권, 대부업 등에서 빈번한 이른바 ‘약탈적 금융’ 관행에 대해 엄밀히 들여다보겠다는 의미다.

그는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하면서 취약계층의 재기를 돕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장기연체 채권을 정리하고, 고금리 부담을 낮추겠다”고 말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