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신처는 131만원 받아 최저임금 겨우 넘겨
"일괄적 정규직 전환보다 기관별 처우 수준 고려를"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 중 2년 미만 기간제 근로자를 연내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내놓은 가운데 공공부문 기간제 근로자의 월급, 상여금 등이 기관별로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이 최저임금 수준을 겨우 넘는 기간제부터 월 230만원대에 상여금 복지포인트까지 챙기는 기간제도 있다. 정부가 공공부문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화를 일괄 추진하면서 민간부문과의 처우 격차는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외교부 기간제 연봉 2800만원대
2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 47곳 1만1251명의 기간제 근로자(2016년 기준) 중에서 월급을 가장 많이 받는 외교부(월 234만원)와 가장 적은 인사혁신처(월 131만원)의 월급 차이는 103만원에 달했다. 외교부 기간제 직원들의 월급이 23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조달청(233만원) 방위사업청(228만원) 원자력안전위원회(220만원) 교육부(214만원) 순이었다.
이들의 월급을 연봉으로 환산하면 2800만원대로, 300명 미만인 중소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정규직 초임(2490만원)보다 높다. 300인 이상 대기업 정규직의 대졸 초임(평균 4350만원)보단 낮지만 중소기업 정규직으로 취직하는 것보다는 공공부문 기간제로 취업하는 편이 월급 수준이 높다는 얘기다.
상여금과 복지포인트를 더하면 기관별 처우 격차는 더욱 커졌다. 국무조정실 기간제 근로자는 연 386만원의 상여금과 40만원의 복지 포인트를 받았다. 월급도 184만원으로 상위권이었다. 방위사업청 기간제는 월 급여가 228만원으로 높은 데다 연간 301만원의 상여금, 43만원의 복지포인트도 챙겼다. 특허청은 연 220만원의 상여금, 40만원의 복지포인트를 받았다.
반면 2016년 최저임금(시급 6030원, 월급 126만270원)을 겨우 넘기는 기관도 많았다. 인사혁신처는 131만원을 월 급여로 지급했고, 국가보훈처와 우정사업본부는 132만원을 기간제 근로자에게 줬다. 국방부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각각 133만원, 134만원을 월 급여로 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인권위원회 기간제는 상여금이 아예 없었고, 조달청 통계청 등은 연간 40만~45만원 수준의 상여금을 받았다.
◆“노동시장 3중 구조로 심화”
전문가들은 정부가 기관별 처우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정규직 전환 방침을 세우면서 공공부문으로 ‘일자리 쏠림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가 세금으로 공공부문 일자리 질을 높일수록 청년의 공공부문 선호가 강해지면서 민간 고용시장의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한 노동분야 전문가는 “흔히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차를 놓고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라고 하지만 지금은 3중, 4중 구조로 봐야 한다”며 “공공부문 비정규직보다 중소기업의 정규직 처우가 나쁜 상황에서 누가 민간 기업에 취업하려 하겠느냐”고 말했다.
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선발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24.3대 1로 지난해보다 상승했다.8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선발시험 응시 원서를 접수한 결과 선발 예정 인원 4330명에 총 10만5111명이 지원했다.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21.8대 1)보다 높아졌다.9급 공채 경쟁률은 2016년(53.8대 1) 이후 8년 연속 하락하다가 반등했다. 올해는 선발 예정 인원이 지난해보다 감소했으나, 응시 원서 제출 인원은 지난해보다 1514명 증가했다.직군별 경쟁률은 과학기술 직군이 22.1대 1, 행정 직군이 24.7대 1이다.지원자 평균 연령은 30.8세로 지난해(30.4세)보다 소폭 높아졌다. 연령별로 보면 20∼29세 지원자가 5만3859명(51.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39세 3만8638명(36.8%), 40∼49세 1만679명(10.2%), 50세 이상 1422명(1.4%) 등이다.인사처 관계자는 "최근 경제 한파의 영향도 있겠지만, 정부의 공무원 처우 개선 노력이 이어지면서 공직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올해 1차 시험은 오는 4월5일 시행한다. 시험 장소는 3월28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발표된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국민의힘은 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자신의 지지자들을 향해 서울 광화문 광장 집회 참여를 독려한 데 대해 "지지율 하락에 이 대표 마음이 오죽이나 급하긴 하나보다"라고 비판했다.정광재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래서 이재명은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정 대변인은 "이 대표는 지난해 12월 '팬카페 이장직'을 내려놓겠다고 했는데 두 달 만에 '개딸'(이 대표 강성 지지층)들을 대상으로 집회 동원령을 내리는 것은 무슨 일인가"라며 "혹시 또 '팬카페 이장직을 사퇴한다고 했더니 진짜 사퇴하는 줄 알았습니까'라며 말을 바꾸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정 대변인은 "최근 '흑묘백묘론'을 운운하는 이 대표의 '현란한 변신술'은 반도체 특별법의 주 52시간제 예외 문제 후퇴로 인해 '가짜 변신술'임이 드러났다"며 "이 대표의 우클릭은 '헛클릭'이고, 말만 앞세우는 '혀클릭'에 불과하다는 말도 나온다"고 꼬집었다.또 "이 대표가 과거 처벌을 받았거나 현재 재판 중인 범죄도 죄명은 다르지만 모두 본질적으로 거짓말 범죄"라며 "거짓말 범죄 종합선물세트 같은 사람이 과연 누구인지 스스로 물어봐야 할 때"라고 비난했다.이 대표는 전날 자신의 팬카페인 '재명이네 마을'에 올린 글에서 "아직 내란 사태가 끝나지 않았다"며 "광화문 광장에서 어둠을 몰아내는 빛의 축제에 함께 해달라"고 했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에서 양측의 뜨거운 공방이 오가는 가운데, 여권 곳곳에서는 출마를 위한 군불 때기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기 대선이 열릴 경우 야권 주자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나설 것이 확실하지만, 여권 주자는 '오리무중'이다 보니 구도 전쟁이 조기에 발발한 모양새입니다.'조기 대선'에 대한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은 물론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오히려 탄핵을 기정사실화한 조기 대선 논의에 대해 거듭 우려하는 입장을 내기도 했습니다.그러나 '공식 입장'이라는 틀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조기 대선이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이들을 더 찾기 힘든 것이 요즘의 여의도 분위기입니다. 대다수의 국민의힘 의원들은 '조기 대선은 피할 수 없을 것 같다'는 데 동의하고 있습니다. 여의도의 시선은 이미 '윤 대통령의 탄핵 여부'가 아니라 '다음 인물'로 넘어간 셈입니다.이 때문에 윤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정에서 끝까지 싸우는 것과는 별개로, 여권 내 잠룡들은 초조한 눈치입니다. 특히 '대선 구도'를 두고서는 이미 경쟁의 막이 올랐습니다.여의도의 예상대로 조기 대선이 될 경우, 대선은 헌법에 따라 헌법재판소의 판결 이후 두 달 (60일) 안에 열려야 합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의 경우를 고려하면,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약 한 달 안에 당내 경선으로 대선 후보를 확정하게 됩니다. 이후 본선까지도 딱 한 달의 시간이 주어집니다. 대선을 준비하기에는 빠듯한 시간만이 남게 되는 것입니다.선거의 3가지 요소(구도, 인물, 바람) 중 '사람의 힘'으로 어찌해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