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핏 "뇌 주름 하나까지 구현한다"…환자 맞춤형 뇌자극 내비게이션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환자마다 두개골 모양이나 뇌구조, 병변은 모두 다릅니다. 전기 자극은 환자 맞춤형으로 가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죠.”
빈준길 뉴로핏 대표(29·사진)는 25일 서울 역삼동 사무실에서 “뇌졸중 후유증으로 불편을 겪는 환자들이 전기 자극으로 재활치료를 받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뇌자극 가이드 소프트웨어’를 지난달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른바 뉴로내비게이션이다. 환자의 자기공명영상(MRI)을 분석해 3D 모델을 만들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어디에 어느정도의 전기 자극을 줘야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다.
전기 자극은 뇌졸중 후유증 환자의 재활뿐만 아니라 치매, 우울증 등 뇌와 관련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어느 부위에 전류를 얼만큼 흘리면 어떤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임상적인 통계에 의존할 뿐 구체적인 수치에 기반한 분석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넓은 범위에 미세한 전류를 흘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치료효과도 제한적이다.
빈 대표는 “넓은 범위에 미세한 전류를 흘리는 것보다 자극이 필요한 곳에 집중적으로 전류를 흘리는 게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뉴로핏은 빈 대표가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은 김동현 박사와 손을 잡으면서 지난해 3월 탄생했다. 둘은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대학원생으로 처음 만났다. 빈 대표는 치매로 10년 가까이 고생하는 할머니를 보면서 치매를 치료할 방법을 찾고 있었고 김 박사는 2012년께부터 뉴로내비게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있었다.
뉴로핏이 개발한 뉴로내비게이션은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에 900개 이상의 MRI 데이터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시키면서 만들어졌다. 두피, 두개골, 뇌척수액량, 뇌의 형태는 물론 뇌주름까지도 구현해낼 수 있다. 환자의 MRI를 읽어 3D로 머리와 뇌의 형태를 모델링한 후 전류를 흘렸을 때 만들어지는 전기장을 계산해내는 방식으로 효과도 예측 가능하다.
빈 대표는 "환자의 MRI만 있으면 5분 안에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가 진료 전에 환자에게 어떤 부위에 어떤 식으로 전기 자극을 가할지 설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박사의 논문은 이미 2015년 뇌자극 관련 국제학술지 브레인스티뮬레이션의 표지논문에 선정됐다. 이후에도 빈 대표는 김 박사와 함께 해외 학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했다. 투자자들 반응도 좋았다. 지금껏 중소기업청뿐만 아니라 퓨처플레이 등으로부터 총 7억4500만원가량 투자받았다. 덕분에 직원은 8명으로 늘었다.
뉴로핏의 첫 번째 타깃은 뇌졸중 환자들이다. 후유증으로 손발을 못 움직이거나 거동이 불편한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계획이다. 주요 마케팅 타깃은 대학병원과 연구소다. 지난달 삼성서울병원과 소프트웨어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달 초에는 미국국립보건원(NIH) 측에서 공급 계약에 대해 문의해오기도 했다. 이후 요양병원 등으로도 판로를 확대할 방침이다. 빈 대표는 “간질, 우울증, ADHD, 치매 등의 질환에도 적용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
빈준길 뉴로핏 대표(29·사진)는 25일 서울 역삼동 사무실에서 “뇌졸중 후유증으로 불편을 겪는 환자들이 전기 자극으로 재활치료를 받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뇌자극 가이드 소프트웨어’를 지난달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른바 뉴로내비게이션이다. 환자의 자기공명영상(MRI)을 분석해 3D 모델을 만들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어디에 어느정도의 전기 자극을 줘야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다.
전기 자극은 뇌졸중 후유증 환자의 재활뿐만 아니라 치매, 우울증 등 뇌와 관련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어느 부위에 전류를 얼만큼 흘리면 어떤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임상적인 통계에 의존할 뿐 구체적인 수치에 기반한 분석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넓은 범위에 미세한 전류를 흘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치료효과도 제한적이다.
빈 대표는 “넓은 범위에 미세한 전류를 흘리는 것보다 자극이 필요한 곳에 집중적으로 전류를 흘리는 게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뉴로핏은 빈 대표가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은 김동현 박사와 손을 잡으면서 지난해 3월 탄생했다. 둘은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대학원생으로 처음 만났다. 빈 대표는 치매로 10년 가까이 고생하는 할머니를 보면서 치매를 치료할 방법을 찾고 있었고 김 박사는 2012년께부터 뉴로내비게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있었다.
뉴로핏이 개발한 뉴로내비게이션은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에 900개 이상의 MRI 데이터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시키면서 만들어졌다. 두피, 두개골, 뇌척수액량, 뇌의 형태는 물론 뇌주름까지도 구현해낼 수 있다. 환자의 MRI를 읽어 3D로 머리와 뇌의 형태를 모델링한 후 전류를 흘렸을 때 만들어지는 전기장을 계산해내는 방식으로 효과도 예측 가능하다.
빈 대표는 "환자의 MRI만 있으면 5분 안에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가 진료 전에 환자에게 어떤 부위에 어떤 식으로 전기 자극을 가할지 설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박사의 논문은 이미 2015년 뇌자극 관련 국제학술지 브레인스티뮬레이션의 표지논문에 선정됐다. 이후에도 빈 대표는 김 박사와 함께 해외 학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했다. 투자자들 반응도 좋았다. 지금껏 중소기업청뿐만 아니라 퓨처플레이 등으로부터 총 7억4500만원가량 투자받았다. 덕분에 직원은 8명으로 늘었다.
뉴로핏의 첫 번째 타깃은 뇌졸중 환자들이다. 후유증으로 손발을 못 움직이거나 거동이 불편한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계획이다. 주요 마케팅 타깃은 대학병원과 연구소다. 지난달 삼성서울병원과 소프트웨어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달 초에는 미국국립보건원(NIH) 측에서 공급 계약에 대해 문의해오기도 했다. 이후 요양병원 등으로도 판로를 확대할 방침이다. 빈 대표는 “간질, 우울증, ADHD, 치매 등의 질환에도 적용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