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십리∼상계 잇는 동북선 경전철 본궤도에…2024년 완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민간투자사업자와 최종 협상 마쳐
사업 주관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간 뒤 새 사업자를 선정하느라 차질을 빚었던 동북선 경전철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서울시는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협상대상자인 '동북선경전철주식회사(주간사 현대엔지니어링)'와 최종 협상을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말 사업 실시협약 체결을 목표로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 검토, 내부 심사,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 시의회 보고 등의 절차를 차례로 밟을 계획이다.
이 절차가 문제없이 진행되면 2019년 상반기 동북선 경전철 공사에 착수해 2024년 완공할 수 있을 것으로 서울시는 예상한다.
동북선은 왕십리(2호선, 국철, 분당선)∼제기역(1호선)∼고려대역(6호선)∼미아사거리역(4호선)∼월계역(7호선)∼상계역(4호선)를 연결하는 총연장 13.4km의 노선이다.
전 구간이 지하에 건설되며 정거장은 15곳이다.
7개 정거장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서울시는 동북선이 개통되면 노원구 중계동 은행사거리에서 왕십리역까지 출퇴근 시간을 46분에서 24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상계역에서 왕십리역까지 통근시간은 37분(4호선↔2호선 환승 기준)에서 12분 정도 줄어든다.
앞서 서울시는 2010년 10월 동북뉴타운신교통주식회사를 우선협상자로 선정해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주관사인 경남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사업이 잠시 중단됐다.
서울시는 2015년 말 동북뉴타운신교통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정을 취소하고 차순위였던 동북선경전철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동북선은 민간이 건설하고 이용료로 수익을 내는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이다.
동북선경전철이 30년간 동북선을 직접 운영해 수익을 낸다.
소유권은 서울시에 있다.
민간사업자가 사업비 50%를 부담하고, 38%는 시비, 12%는 국비로 충당한다.
최소운영수입보장(MRG, Minimum Revenue Guarantee) 조항이 없어 사업자가 운영손실을 보더라도 정부가 재정을 지원하지 않는다.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chopark@yna.co.kr
서울시는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협상대상자인 '동북선경전철주식회사(주간사 현대엔지니어링)'와 최종 협상을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말 사업 실시협약 체결을 목표로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 검토, 내부 심사,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 시의회 보고 등의 절차를 차례로 밟을 계획이다.
이 절차가 문제없이 진행되면 2019년 상반기 동북선 경전철 공사에 착수해 2024년 완공할 수 있을 것으로 서울시는 예상한다.
동북선은 왕십리(2호선, 국철, 분당선)∼제기역(1호선)∼고려대역(6호선)∼미아사거리역(4호선)∼월계역(7호선)∼상계역(4호선)를 연결하는 총연장 13.4km의 노선이다.
전 구간이 지하에 건설되며 정거장은 15곳이다.
7개 정거장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서울시는 동북선이 개통되면 노원구 중계동 은행사거리에서 왕십리역까지 출퇴근 시간을 46분에서 24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상계역에서 왕십리역까지 통근시간은 37분(4호선↔2호선 환승 기준)에서 12분 정도 줄어든다.
앞서 서울시는 2010년 10월 동북뉴타운신교통주식회사를 우선협상자로 선정해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주관사인 경남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사업이 잠시 중단됐다.
서울시는 2015년 말 동북뉴타운신교통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정을 취소하고 차순위였던 동북선경전철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동북선은 민간이 건설하고 이용료로 수익을 내는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이다.
동북선경전철이 30년간 동북선을 직접 운영해 수익을 낸다.
소유권은 서울시에 있다.
민간사업자가 사업비 50%를 부담하고, 38%는 시비, 12%는 국비로 충당한다.
최소운영수입보장(MRG, Minimum Revenue Guarantee) 조항이 없어 사업자가 운영손실을 보더라도 정부가 재정을 지원하지 않는다.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cho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