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사업체노동력 조사'
1인당 평균 임금 324만원
금융·보험업 535만원 최고
숙박·음식업 198만원 최저
![](https://img.hankyung.com/photo/201707/AA.14391945.1.jpg)
고용노동부는 27일 이런 내용을 담은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상용직 5명 이상인 사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5월 기준 해당 사업체 전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세전)은 324만4000원으로 지난해 5월(313만3000원)보다 3.6%(11만1000원) 늘어났다. 올해 1~5월 월평균 임금은 349만1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10만원) 증가했다.
일하는 형태별로 보면 상용직은 5월 기준 1인당 월평균 임금이 341만7000원으로 전년 5월(331만3000원) 대비 3.2%(10만4000원) 늘었다. 임시·일용직은 149만6000원으로 같은 기간 4.5%(6만5000원)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상용 5~300명 미만 사업체가 301만9000원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4.6%(13만3000원) 증가했고, 상용 300명 이상은 419만7000원으로 같은 기간 1.8%(7만4000원) 늘었다.
업종별 임금을 비교하면 금융·보험업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이 535만2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가스·증기·수도업(490만9000원), 전문 및 과학·기술서비스업(444만원),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410만7000원) 순으로 임금이 많았다.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이 가장 적은 업종은 숙박·음식점업(198만4000원)이었다.
◆월평균 근로시간은 162.3시간
5월 기준 전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2.3시간으로 지난해 5월(169.9시간)과 비교해 4.5%(7.6시간) 감소했다. 이는 5월 근로일수가 19.4일로 전년 동월 대비 0.8일(4.0%)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5월 평균 근로시간을 근로일수로 나누면 하루 평균 8.4시간 일한 셈이다. 올해 1~5월 기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8.2시간으로 전년 1~5월과 비교해 0.5시간(0.3%) 줄었다.
상용직은 1인당 5월 평균 근로시간이 168시간으로 지난해 5월보다 8.2시간(4.7%) 감소했고, 임시·일용직은 105.4시간으로 같은 기간 4.8시간(4.4%) 줄었다.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부동산업 및 임대업이 185.1시간으로 가장 길었다. 제조업(177.2시간)이 뒤를 이었다.
지난 6월 말 기준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종사자 수는 1699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1668만5000명)에 비해 31만2000명(1.9%) 늘었다. 상용직은 같은 기간 30만 명(2.2%) 증가했지만 임시·일용직은 3000명(0.1%) 감소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