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영국 원자력발전소 사업 지분 인수를 타진 중이다. 계약이 성사되면 한수원은 영국 원전 4기의 운영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앞서 영국 정부는 한국전력에 원전 3기의 건설을 부탁하기도 했다. 한국 원전 기술력을 높이 산 영국이 잇따라 국내 원전업계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지만,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 때문에 수출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영국 잇단 러브콜
27일 원전업계에 따르면 영국 중부의 윌파에 2020년 중순까지 원전 2기를 건설하기로 한 호라이즌뉴클리어파워가 최근 한수원에 지분 인수를 제안했다. 호라이즌의 모회사는 일본 히타치제작소다. 호라이즌은 사업비의 35%가량을 지분투자 형태로 충당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한수원 관계자는 “히타치가 사업 협력을 제안해 실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윌파 원전 2기의 발전용량은 2.7기가와트(GW)다. 투자비는 100억파운드(약 14조5600억원)로 추산된다. 2015년 폐쇄돼 해체작업을 벌이고 있는 매그녹스 윌파 원전 옆에 건설될 예정이다.
한수원이 지분을 인수하면 윌파 원전의 운영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 원전 수출 시 한전은 건설을, 한수원은 운영을 맡는 게 일반적이다.
호라이즌은 영국 올드버리에도 원전 2기를 지을 계획이다. 지분 인수 시 한수원이 총 4기의 원전 운영을 맡을 수 있다.
한수원 모회사인 한전은 영국 북서부 무어사이드 원전 건설사업에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다. 그레그 클라크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장관이 지난 4월 방한해 “한전은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을 성공적으로 수주하는 등 경험이 많은 만큼 성공적인 투자 파트너 관계가 되길 바란다”며 직접 ‘구애’를 하기도 했다.
영국은 총 13기의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한수원과 한전이 사업 참여에 성공하면 13기 중 7기의 건설이나 운영이 한국 회사에 의해 이뤄지게 된다.
◆국내에선 “원전 필요없다”
한국 원전의 건설 단가는 킬로와트(㎾)당 1556달러다. 경쟁국인 중국(1763달러) 러시아(2993달러) 일본(3009달러) 프랑스(3869달러) 등에 비해 낮다. 공사기간도 한국은 평균 56개월로 중국(68개월) 프랑스(126개월)에 비해 짧다. 고장 정지율은 한국 원전이 1.1%이고 중국 1.5%, 일본 3.9%, 러시아 4.2%, 프랑스 8% 등이다. 그동안 프랑스 회사에 원전 건설을 주로 맡겼던 영국이 한국에 원전 건설과 운영을 부탁하는 이유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시행해도 원전 수출은 막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원전을 짓지 못하면 관련 기술 개발이 더뎌질 뿐 아니라 업체들이 도산해 수출길이 막힐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원전 수출이 일반 공산품처럼 자주 이뤄지는 게 아니다”며 “국내에서 원전을 안 지으면 원전 설비 제작 업체, 부품 및 자재 공급 업체, 연구 개발 업체가 문을 닫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시스템이 17~22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제전시컨벤션센터(ADNEC)에서 개최되는 ‘국제방산전시회(IDEX) 2025’에 참가한다. IDEX는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최대 국제방산전시회다. 한화시스템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방위산업 종합 역량’ 홍보에 나선다.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지구관측위성 개발 역량을 선보인다. 또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수출 주역인 다기능레이다와 대공방어시스템 등 ‘K방산’의 첨단 기술력을 선보인다.구체적으로 한화시스템은 중동 수출 주역인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M-SAM·천궁)의 다기능레이다 수출형 모델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 다기능 레이다 △동시다발로 쏟아지는 장사정포를 탐지·추적 할 수 있는 다표적 동시교전(Anti-MLRS) 다기능 레이다 △공격형 드론을 미리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안티드론 시스과 △통합지휘통제체계(C2) 등 다계층 대공방어시스템을 전시한다.한화시스템은 대공방어기술력을 바탕으로 중동 및 유럽 등 글로벌 조기경보 레이다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조기경보 레이다는 2000~3000㎞ 이상 장거리의 탄도탄을 탐지·추적할 수 있는 레이다다. 한화시스템은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과 최신예 호위함 FFX 배치-III의 다기능 레이다, 한국형 전투기(KF-21)의 능동위상배열(AESA)레이다까지 육·해·공 다기능레이다 기술력을 모두 확보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글로벌 조기 경보 레이다 시장에서 수출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한화시스템의 첨단 레이다 기술 및 대공방어체계 역량은 중동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
현대자동차는 레이싱 게임 제작사와 협업해 게임을 통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레이싱 대회를 개최하며 e스포츠의 저변도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현대 N은 지난달 서울 잠실 숲 콜로세움 e스포츠 경기장에서 글로벌 레이싱 e스포츠 대회인 ‘2024 현대 N 버츄얼 컵’ 결승전을 열었다.현대 N 최초의 글로벌 온·오프라인 시뮬레이션 레이싱 대회인 현대 N 버츄얼 컵은 현대 N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글로벌 인기 레이싱 게임인 아세토 코르사로 운영됐다. 3차원 스캔 기술로 현실의 서킷을 가상 세계에 그대로 구현해 게임 내에서 현실과 거의 같은 움직임을 구현했다.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 간 한국과 중국 미국 유럽 등에서 2800여명이 참가해 온라인으로 예선 및 지역별 준결승이 진행됐다. 결승전에는 각 지역에서 준결승전을 통해 선발된 20명이 참가했다.최종 우승자인 폴란드 국적의 도미닉 블레어로는 “유럽팀이 마지막 두 레이스에서 2연승을 거두며 결승선을 통과해 기쁘고 다음 대회에서도 우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결승전 행사 현장에는 약 850명이 방문했고 현대 N 공식 유튜브 계정인 현대 N 월드와이드 채널에서 결승전 생중계를 진행했다. 현대 N은 경기장 현장을 방문한 고객들이 즐길 수 있는 차량 시뮬레이터 존을 마련해 다양한 레이싱 게임 속에 등장하는 현대차의 차종을 체험할 수 있게 했다.현대차의 첫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은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e스포츠 토너먼트 ‘그란 투리스모 월드 시리즈 2024’ 월드 파이널에 등장해 뛰어난 주행 성능을 선보였다. 그란 투리스모 월드 시리즈는
포스코가 올해 글로벌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이하 나혼렙)’과 협업해 판타스틸 광고 캠페인에 나선다.포스코는 지난달 15일 나혼렙과 함께 ‘판타지가 현실이 된다(FANTASTEEL COME TRUE)’를 주제로 제작한 판타스틸 광고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 포스코는 2023년 판타스틸 광고 시즌1에서 게임 속 판타지 세계관에 포스코 철강제품을 녹여내는 참신한 접근을 시도해 미래세대에게 회사의 트렌디한 이미지를 확산해왔다.캠페인은 지난해 포스코가 포항제철소 1기 종합준공 50주년을 맞아 일반인들에게 철의 가치와 친환경성을 알리려고 기획했다. 포스코가 보유한 기술력과 철강 품질을 게임 속 판타지와 연결한 스토리텔링으로 화제를 모았다.포스코는 올해엔 전세계 10~30대가 열광하는 e스포츠인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에 공식 스폰서로 참여하는데 이어,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K-웹툰과 신선한 컬래버로 판타스틸 광고의 저변을 확대할 예정이다. 포스코가 나혼렙과 협업한 판타스틸 광고 영상은 LCK 생중계로 전세계 시청자들에게 선보여질 예정이다.실제 지난달 15일 공개한 티저 영상에서 ‘POSCOLLECTION’이라는 의미심장한 단어와 웹툰에 등장하는 무기들을 강조해 대중들의 호기심을 이끌어냈다. 철강회사 포스코와 판타지 K-웹툰의 이색적인 협업 결과는 다음달 오픈할 판타스틸 광고 영상 본편에서 확인할 수 있다.포스코는 국내 철강사 중 최초로 2021년 10월 회사의 캐릭터인 ‘포석호’를 만들어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 포석호를 활용한 굿즈 개발, 온라인 팝업스토어 운영 등 대중과의 소통을 통해 철강업과 관련된 보수적 이미지를 탈피하고, 진입 장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