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BIZ School] 데이터로 키우고 드론으로 관리…'4차 혁명' 기술 만난 농업 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농식품부·농정원
농업인 드론 교육도 실시
농업인 드론 교육도 실시
4차 산업화를 위한 요소기술들이 농업과 접목되면서 농업분야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농작물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온도와 습도 등을 찾는가 하면 드론을 날려 농업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특히 드론은 첨단 연구시설 없이도 농업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어 인기다. 농업인이 드론을 날려 수십만㎡의 농지를 혼자서 파종하고, 비료를 살포하며, 병해충 방제도 한다. 들판의 생육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더운 날 발품 팔지 않고 모니터를 통해 농지 구석구석을 훑어볼 수 있다. 이런 일들은 올해부터 농촌의 자연스러운 풍경이 될 예정이다.
현지 조사와 탐사가 필요한 농업 정책에도 드론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는 올해부터 농업경영체 등록과 직불제와 관련된 농지면적 확인, 재배작물 조사 등에 드론을 시범 도입할 예정이다. 농업관측 및 작황정보 파악, 농지 불법전용 실태 파악, 농업재해 상황 확인 등에도 드론의 활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전자 농경지 지도(스마트팜 맵) 구축 및 활용을 위한 토양와 농경지 조사에는 이미 드론 영상 촬영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정책부터 생산까지 드론 활용
농산업 분야에서는 논 농업분야에서의 활용이 두드러진다. 들녘경영체 등의 쌀 공동경영체에서는 그동안 수십, 수백헥타르(ha)의 농지를 공동 생산·관리하기 위해 헬리콥터를 활용해왔다. 하지만 수억원에 이르는 구입비와 운영비가 부담이었던 차에 최근 드론의 등장으로 쌀 생산현장의 모습도 바뀌고 있다. 기존 1억~2억원에 이르는 농업용 무인 헬리콥터에 비해 드론은 4분의 1 수준으로 값이 저렴한 데다 기름값 등의 운영비도 절감할 수 있다. 장애물 등에 대한 대응이 쉬워 안전성도 높다. 문제는 취미용 소형 드론과 달리 무게가 12㎏을 초과하는 중대형 드론은 운전할 농업인이 태부족하다는 데 있다. 중대형 드론은 ‘초경량 비행장치 조종사 자격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농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박철수)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신규 국가지원 교육과정으로 ‘농업용 드론 면허취득과정’을 7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교육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회장 김원석)는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드론 전문교육 3개 기관과 협력해 경기, 전남,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있다. 김원석 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장은 “농업인과 생산현장도 첨단기술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극 부응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며 “이번 드론 교육이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농업인 대상 드론 스쿨도 열어
144시간의 짧지 않은 교육 시간과 400여만원의 교육비 중 200여만원을 수강생이 부담해야 하지만, 드론의 다양한 쓰임새와 생산성 효과 등이 훨씬 높을 것으로 기대되면서 참여 열기가 뜨겁다. 지난 10일부터 시작된 1기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한 수강생(40·경남 산청)은 “드론은 농업생산 현장에서 꼭 필요한 기술인데, 그동안 마땅한 교육이 없었던 데다 교육비가 너무 비싸 미루다가 이번에 참여하게 됐다”며 “자격증을 따면 활용할 데가 많을 것”이라고 기대를 보였다.
농업분야 4차 산업혁명에 앞장서고 있는 박철수 농정원장은 “생산 현장부터 정책 실행까지 드론 등 첨단기술의 활용가치는 무한하다”며 “4차 산업 요소기술을 농업에 접목해 농업 혁신을 앞당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
빅데이터를 활용해 농작물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온도와 습도 등을 찾는가 하면 드론을 날려 농업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특히 드론은 첨단 연구시설 없이도 농업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어 인기다. 농업인이 드론을 날려 수십만㎡의 농지를 혼자서 파종하고, 비료를 살포하며, 병해충 방제도 한다. 들판의 생육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더운 날 발품 팔지 않고 모니터를 통해 농지 구석구석을 훑어볼 수 있다. 이런 일들은 올해부터 농촌의 자연스러운 풍경이 될 예정이다.
현지 조사와 탐사가 필요한 농업 정책에도 드론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는 올해부터 농업경영체 등록과 직불제와 관련된 농지면적 확인, 재배작물 조사 등에 드론을 시범 도입할 예정이다. 농업관측 및 작황정보 파악, 농지 불법전용 실태 파악, 농업재해 상황 확인 등에도 드론의 활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전자 농경지 지도(스마트팜 맵) 구축 및 활용을 위한 토양와 농경지 조사에는 이미 드론 영상 촬영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정책부터 생산까지 드론 활용
농산업 분야에서는 논 농업분야에서의 활용이 두드러진다. 들녘경영체 등의 쌀 공동경영체에서는 그동안 수십, 수백헥타르(ha)의 농지를 공동 생산·관리하기 위해 헬리콥터를 활용해왔다. 하지만 수억원에 이르는 구입비와 운영비가 부담이었던 차에 최근 드론의 등장으로 쌀 생산현장의 모습도 바뀌고 있다. 기존 1억~2억원에 이르는 농업용 무인 헬리콥터에 비해 드론은 4분의 1 수준으로 값이 저렴한 데다 기름값 등의 운영비도 절감할 수 있다. 장애물 등에 대한 대응이 쉬워 안전성도 높다. 문제는 취미용 소형 드론과 달리 무게가 12㎏을 초과하는 중대형 드론은 운전할 농업인이 태부족하다는 데 있다. 중대형 드론은 ‘초경량 비행장치 조종사 자격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농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박철수)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신규 국가지원 교육과정으로 ‘농업용 드론 면허취득과정’을 7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교육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회장 김원석)는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드론 전문교육 3개 기관과 협력해 경기, 전남,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있다. 김원석 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장은 “농업인과 생산현장도 첨단기술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극 부응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며 “이번 드론 교육이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농업인 대상 드론 스쿨도 열어
144시간의 짧지 않은 교육 시간과 400여만원의 교육비 중 200여만원을 수강생이 부담해야 하지만, 드론의 다양한 쓰임새와 생산성 효과 등이 훨씬 높을 것으로 기대되면서 참여 열기가 뜨겁다. 지난 10일부터 시작된 1기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한 수강생(40·경남 산청)은 “드론은 농업생산 현장에서 꼭 필요한 기술인데, 그동안 마땅한 교육이 없었던 데다 교육비가 너무 비싸 미루다가 이번에 참여하게 됐다”며 “자격증을 따면 활용할 데가 많을 것”이라고 기대를 보였다.
농업분야 4차 산업혁명에 앞장서고 있는 박철수 농정원장은 “생산 현장부터 정책 실행까지 드론 등 첨단기술의 활용가치는 무한하다”며 “4차 산업 요소기술을 농업에 접목해 농업 혁신을 앞당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