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너무 높았나?…상장사 10곳 중 3곳꼴 '어닝쇼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분기 실적 '어닝서프라이즈'보다 많아
올해 2분기 기업 실적 공표 기간(어닝 시즌)이 중반에 접어든 가운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10% 이상 밑돌아 '어닝쇼크'를 기록한 업체가 전체 10곳 중 3곳 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대인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한 업체 수보다 많은 것이어서 시장 눈높이가 너무 높아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30일 금융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의 추정치가 있는 상장사 가운데 지난 28일까지 2분기 실적(연결 재무제표 잠정 기준)을 발표한 기업은 86곳이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41곳이 컨센서스보다 나쁜 성적표를 내놨다.
특히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10% 이상 적은 '어닝 쇼크'를 기록한 기업은 전체의 31.4%인 27곳에 달했다. 기업별로 보면 포스코강판의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80.7%나 적었다.
또 파트론[091700](-69.2%), 삼성엔지니어링[028050](-64.1%), 삼성중공업[010140](-54.6%), 롯데쇼핑[023530](-52.6%)의 영업이익도 컨센서스의 절반을 채우지 못했다.
에쓰오일[010950](-47.5%), 현대로템[064350](-42.8%), 아모레G[002790](-37.6), 현대위아[011210](-35.1%), LG상사[001120](-31.9%), SK이노베이션[096770](-30.3%), 아모레퍼시픽[090430](-29.8%), 포스코ICT(-26.7%), 기아차[000270](-24.6%), 효성[004800](-24.0%) 등도 기대치에 턱 없이 못 미쳤다.
이밖에 한화테크윈[012450](-15.8%), LG전자[066570](-13.4%), OCI[010060](-13.3%), 에스원[012750](-13.3%), 현대산업[012630](-12.5%), 현대제철[004020](-12.3%), 현대차[005380](-11.8%) 등도 어닝쇼크를 냈다.
쌍용차[003620]는 영업 적자 규모가 컨센서스보다 50%나 많았다.
이에 비해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10% 이상 많은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기업은 22곳에 그쳤다.
우선 신라호텔의 2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432.0% 많았다.
또 삼성SDI[006400](352.3%), 한미약품[128940](36.4%), 셀트리온[068270](32.8%), 대우건설[047040](28.5%), NH투자증권[005940](25.4%), KB금융[105560](21.7%), 신한지주[055550](20.8%) 등도 깜짝 실적을 거뒀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사상 최대인 14조66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지만 실적 발표전에 이미 기대치가 높아진 탓에 컨센서스를 6.6% 웃도는 데 그쳤다.
증권가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어닝 서프라이즈' 기준에는 못 미친 것이다.
또 LG디스플레이는 영업이익이 8천43억원으로 작년 동기(444억원)보다 17배나 늘었지만 높아진 컨센서스(8천665억원)에는 오히려 7.2% 부족했다.
이에 따라 어닝쇼크를 낸 기업이 어닝 서프라이즈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이유 중 하나로 과도하게 높아진 시장 눈높이를 꼽는 전문가들도 많다.
김동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2분기 실적이 양호한 것은 맞지만 기대치도 높아졌다"며 "IT와 금융 등 일부 업종에 실적 개선이 집중된 점도 올해 2분기의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컨센서스보다 많은 영업이익을 낸 기업이 45곳으로 그렇지 않은 41곳보다 많다.
특히 분석 대상인 86곳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총 33조6천40억원으로 작년 동기(24조3천540억원)보다 38.0%(9조2천500억원) 늘어 실적이 개선됐음을 증명해준다.
그러나 영업이익 증가 규모가 5조9천225억원으로 1위인 삼성전자, 2위와 3위인 SK하이닉스[000660](2조5천978억원)와 LG디스플레이[034220](7천599억원) 3곳만 합쳐도 전체 증가액을 넘어설 만큼 일부 기업에 실적 개선이 집중된 것도 사실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매크로팀장은 "삼성전자 같은 기업이 워낙 좋은 실적을 내다보니까 시장이 흥분한 측면도 있다"며 "객관적으로 돌아보면 이익이 준 업체들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높아진 눈높이에 대한 경계감도 내비치고 있다.
삼성전자가 사상 최대의 호실적을 발표하고서 주가가 떨어지는 상황도 이런 기류와 무관치 않다.
마주옥 한화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실적이 좋게 나온 업체는 이미 실적이 고점에 달한 게 아니냐는 불안감이 작용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evan@yna.co.kr
올해 2분기 기업 실적 공표 기간(어닝 시즌)이 중반에 접어든 가운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10% 이상 밑돌아 '어닝쇼크'를 기록한 업체가 전체 10곳 중 3곳 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대인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한 업체 수보다 많은 것이어서 시장 눈높이가 너무 높아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30일 금융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의 추정치가 있는 상장사 가운데 지난 28일까지 2분기 실적(연결 재무제표 잠정 기준)을 발표한 기업은 86곳이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41곳이 컨센서스보다 나쁜 성적표를 내놨다.
특히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10% 이상 적은 '어닝 쇼크'를 기록한 기업은 전체의 31.4%인 27곳에 달했다. 기업별로 보면 포스코강판의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80.7%나 적었다.
또 파트론[091700](-69.2%), 삼성엔지니어링[028050](-64.1%), 삼성중공업[010140](-54.6%), 롯데쇼핑[023530](-52.6%)의 영업이익도 컨센서스의 절반을 채우지 못했다.
에쓰오일[010950](-47.5%), 현대로템[064350](-42.8%), 아모레G[002790](-37.6), 현대위아[011210](-35.1%), LG상사[001120](-31.9%), SK이노베이션[096770](-30.3%), 아모레퍼시픽[090430](-29.8%), 포스코ICT(-26.7%), 기아차[000270](-24.6%), 효성[004800](-24.0%) 등도 기대치에 턱 없이 못 미쳤다.
이밖에 한화테크윈[012450](-15.8%), LG전자[066570](-13.4%), OCI[010060](-13.3%), 에스원[012750](-13.3%), 현대산업[012630](-12.5%), 현대제철[004020](-12.3%), 현대차[005380](-11.8%) 등도 어닝쇼크를 냈다.
쌍용차[003620]는 영업 적자 규모가 컨센서스보다 50%나 많았다.
이에 비해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10% 이상 많은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기업은 22곳에 그쳤다.
우선 신라호텔의 2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432.0% 많았다.
또 삼성SDI[006400](352.3%), 한미약품[128940](36.4%), 셀트리온[068270](32.8%), 대우건설[047040](28.5%), NH투자증권[005940](25.4%), KB금융[105560](21.7%), 신한지주[055550](20.8%) 등도 깜짝 실적을 거뒀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사상 최대인 14조66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지만 실적 발표전에 이미 기대치가 높아진 탓에 컨센서스를 6.6% 웃도는 데 그쳤다.
증권가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어닝 서프라이즈' 기준에는 못 미친 것이다.
또 LG디스플레이는 영업이익이 8천43억원으로 작년 동기(444억원)보다 17배나 늘었지만 높아진 컨센서스(8천665억원)에는 오히려 7.2% 부족했다.
이에 따라 어닝쇼크를 낸 기업이 어닝 서프라이즈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이유 중 하나로 과도하게 높아진 시장 눈높이를 꼽는 전문가들도 많다.
김동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2분기 실적이 양호한 것은 맞지만 기대치도 높아졌다"며 "IT와 금융 등 일부 업종에 실적 개선이 집중된 점도 올해 2분기의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컨센서스보다 많은 영업이익을 낸 기업이 45곳으로 그렇지 않은 41곳보다 많다.
특히 분석 대상인 86곳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총 33조6천40억원으로 작년 동기(24조3천540억원)보다 38.0%(9조2천500억원) 늘어 실적이 개선됐음을 증명해준다.
그러나 영업이익 증가 규모가 5조9천225억원으로 1위인 삼성전자, 2위와 3위인 SK하이닉스[000660](2조5천978억원)와 LG디스플레이[034220](7천599억원) 3곳만 합쳐도 전체 증가액을 넘어설 만큼 일부 기업에 실적 개선이 집중된 것도 사실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매크로팀장은 "삼성전자 같은 기업이 워낙 좋은 실적을 내다보니까 시장이 흥분한 측면도 있다"며 "객관적으로 돌아보면 이익이 준 업체들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높아진 눈높이에 대한 경계감도 내비치고 있다.
삼성전자가 사상 최대의 호실적을 발표하고서 주가가 떨어지는 상황도 이런 기류와 무관치 않다.
마주옥 한화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실적이 좋게 나온 업체는 이미 실적이 고점에 달한 게 아니냐는 불안감이 작용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ev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