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중소형주 강세를 예상하는 건 시간이 갈수록 문재인 정부의 중소기업육성정책이 힘을 얻을 것으로 기대해서다.
새 정부가 들어선 이듬해에 핵심 정책을 가장 힘 있게 추진하는 ‘집권 2년차 효과’도 이유로 꼽힌다. 중소기업 육성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운 과거 정부에서도 정권 2년차 때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주가가 크게 뛰었다. 1998년 이후 집권한 정부 중 노무현 정부를 제외한 김대중, 이명박, 박근혜 정부 모두 2년차(연말 기준) 때 코스닥지수가 임기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집권 초기 벤처기업 지원책을 쏟아냈던 김대중 정부 시절 코스닥지수는 취임 첫해 말 751.8에서 이듬해 말 2561.4까지 치솟았다.
코스닥 상장기업들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해외에 비해 낮은 데다 실적도 개선되는 추세란 점도 ‘2018년 중소형주 강세’ 가능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코스닥시장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6.1배로, 미국 나스닥(24.2배) 및 중국 차이넥스트(28.2배)에 비해 크게 낮다.
은정진/홍윤정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