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등 급박하게 움직이는데 동맹국 수장과 통화조차 못해"
야 3당, 대북정책 전면수정 요구
문재인 대통령, 휴가 후 미·일 정상과 통화
◆“북에 분명한 신호 보내야”
![박주선 국민의당 비대위원장](https://img.hankyung.com/photo/201707/AA.14415574.1.jpg)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정부는 즉흥적이고 갈팡질팡하는 말장난 외교가 아니라 명확하고 실질적인 대책과 전략으로 안보와 평화를 지켜야 한다”며 “오락가락 행보를 버리고 북한에 분명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박근혜 전 대통령이 로드맵도 없이 통일은 대박이라고 한 것과 뭐가 다른지 알 수 없다”며 “깊이 있는 토론과 논의가 없는 설익은 정책만 난무한다”고 지적했다.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https://img.hankyung.com/photo/201707/AA.14415659.1.jpg)
◆사드 배치도 ‘오락가락’
정부가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부지에 대해 10개월 이상 걸리는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하겠다고 했다가 북한이 ICBM급 미사일을 발사하자 사드 발사대 4기 추가 배치를 결정하는 등 오락가락 정책도 도마에 올랐다.
박 위원장은 “사드는 대북 억제력을 확보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인데도 정부는 임시배치라는 모호한 방침을 발표했다”며 “미국엔 사드를 배치하겠다고 하고 중국엔 철회 가능성을 시사하는 이중적 아마추어 외교는 재앙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북한 미사일 발사 징후를 이틀 전 보고받았다는 청와대 주장이 사실이라면 사드 부지에 환경영향평가를 하겠다고 하지 말았어야 한다”며 “국민 생명이 걸린 중대 사안에 대한 태도를 하루 만에 180도 뒤집는 모습이 안보 불안을 부추긴다”고 비판했다.
◆‘코리아 패싱’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1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52분간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에 단호히 대응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런데 8월5일까지 휴가를 보낼 예정인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통화 일정은 아직 잡히지 않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시간을 조율 중이지만 대통령이 휴가를 갔다 온 직후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직후 지난 29일 새벽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통화했다”고 설명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미국 일본 등 국제사회가 급박하게 대응 강화 움직임을 보이는데도 정작 당사자인 우리 정부는 안일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동맹국 수장과 아직 통화조차 하지 못해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