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원 "완화적 통화정책 재조명 필요하지만 신중히 검토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비증가 가시화될지 불확실…고용시장도 조정받을 우려"
지난달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의 급속한 변경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일 공개한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달 13일 개최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A금통위원은 "장기간 지속된 완화적 기조로 인해 과도하게 급증한 부채가 소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통화정책의 완화적 기조를 재조명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그러나 A위원은 "시급하게 통화정책 기조를 변경하는 것보다 앞으로 가계부채의 증가 속도와 소비 중심의 회복세 등을 신중하게 검토해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경기의 회복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아직 근원인플레이션(식료품과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상승률) 추세가 중기목표로 근접해가는 증거가 부족하다"며 "최근 정부의 부동산 관련 정책의 효과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B위원은 "최근까지 우리 경제의 현존 위험은 물가상승률의 가속보다는 물가상승률의 하향 가능성"이라며 "소비심리 개선이 하반기 실제 소비회복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하고 그에 상응해 대응하는 방식이 적절한 통화정책"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재차 시사했다.
한은 실무부서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반드시 동일한 방향으로 운용돼야만 조화로운 정책조합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추경 집행 등으로 성장세가 강화된다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가 그만큼 확대되기 때문에 통화정책에서는 가계부채 누증과 같은 금융 불균형 문제 등을 종전보다 더 고려하는 것이 조화로운 정책조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동결했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6월 12일 창립 기념사를 통해 완화적 통화정책의 변경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한은은 지난달 31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앞으로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 상황이 보다 뚜렷하게 개선되면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금통위에서는 소비와 고용 회복에 대한 우려도 잇따라 제기됐다.
C위원은 "예비적 저축 증가에 따른 소비성향의 하락, 가계부채의 상환부담 증대 등을 감안하면 소비심리 개선이 과거만큼 실제 소비 증가로 가시화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D위원도 "소비심리에는 신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 부분 반영돼 있다"며 "앞으로 정책추진 과정에서 이것이 실제 소비 증가로 실현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E위원은 "앞으로 건설경기가 둔화하면서 고용시장이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 수출이 좋은 업종의 고용창출력과 낙수효과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금통위원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보유자산 축소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 금통위원은 "미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로 금융시장에 예상치 못한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며 "외환시장의 변동성 증대 등 리스크(위험)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위원은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로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강화될 경우 신흥국에서 자본이 급격히 유출되는 등 '긴축발작' 현상이 재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nojae@yna.co.kr
지난달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의 급속한 변경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일 공개한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달 13일 개최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A금통위원은 "장기간 지속된 완화적 기조로 인해 과도하게 급증한 부채가 소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통화정책의 완화적 기조를 재조명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그러나 A위원은 "시급하게 통화정책 기조를 변경하는 것보다 앞으로 가계부채의 증가 속도와 소비 중심의 회복세 등을 신중하게 검토해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경기의 회복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아직 근원인플레이션(식료품과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상승률) 추세가 중기목표로 근접해가는 증거가 부족하다"며 "최근 정부의 부동산 관련 정책의 효과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B위원은 "최근까지 우리 경제의 현존 위험은 물가상승률의 가속보다는 물가상승률의 하향 가능성"이라며 "소비심리 개선이 하반기 실제 소비회복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하고 그에 상응해 대응하는 방식이 적절한 통화정책"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재차 시사했다.
한은 실무부서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반드시 동일한 방향으로 운용돼야만 조화로운 정책조합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추경 집행 등으로 성장세가 강화된다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가 그만큼 확대되기 때문에 통화정책에서는 가계부채 누증과 같은 금융 불균형 문제 등을 종전보다 더 고려하는 것이 조화로운 정책조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동결했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6월 12일 창립 기념사를 통해 완화적 통화정책의 변경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한은은 지난달 31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앞으로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 상황이 보다 뚜렷하게 개선되면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금통위에서는 소비와 고용 회복에 대한 우려도 잇따라 제기됐다.
C위원은 "예비적 저축 증가에 따른 소비성향의 하락, 가계부채의 상환부담 증대 등을 감안하면 소비심리 개선이 과거만큼 실제 소비 증가로 가시화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D위원도 "소비심리에는 신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 부분 반영돼 있다"며 "앞으로 정책추진 과정에서 이것이 실제 소비 증가로 실현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E위원은 "앞으로 건설경기가 둔화하면서 고용시장이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 수출이 좋은 업종의 고용창출력과 낙수효과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금통위원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보유자산 축소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 금통위원은 "미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로 금융시장에 예상치 못한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며 "외환시장의 변동성 증대 등 리스크(위험)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위원은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로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강화될 경우 신흥국에서 자본이 급격히 유출되는 등 '긴축발작' 현상이 재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noj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