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가 한국산업 '생산성·고용' 지도 바꾼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조업 비중↓…서비스업↑
의료·보건업 등 일자리 급증…섬유·전자업 등은 감소 전망
"구조조정·해외진출로 돌파"
의료·보건업 등 일자리 급증…섬유·전자업 등은 감소 전망
"구조조정·해외진출로 돌파"
가파른 인구 고령화로 한국의 총부가가치와 고용에서 제조업 비중은 줄고 서비스업 비중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일 발표한 ‘인구 고령화에 따른 한국 산업구조 변화’에서 “인구구조 변화는 주요 산업별 생산성과 부가가치 지형도를 바꿔놓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제조업 의존도가 큰 한국 경제의 체질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다. 1970~201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7개 회원국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고 한국의 장래인구추계를 분석한 결과다.
2009년 기준 한국의 제조업 비중은 28.08%로 OECD 평균(16.05%)을 크게 웃돈다. 이에 비해 서비스업 비중은 60.34%로 OECD 평균(70.93%)보다 10%포인트 정도 낮다.
한은은 앞으로 고령층이 많아지면 의류 등 상품 수요가 줄어드는 반면 의료·보건 등의 소비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런 변화는 산업 구조에도 영향을 미쳐 제조업에서 섬유·가죽업, 전기·전자업 고용이 줄고 음식료업과 기계·장비업, 화학제품업 고용은 늘 것으로 분석됐다. 서비스업 중 보건·복지업은 고용이 대폭 늘지만 도·소매업과 교육업은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제조업 중에서 고령화로 생산성이 하락할 업종으로는 화학제품업, 음식료업, 수송기계업이 꼽혔다. 서비스업 중 공공행정업, 금융·보험업, 운수·보관업의 생산성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산업구조 변화의 대응 방안으로 구조조정과 해외시장 개척을 제시했다. 강종구 한은 국장은 “저(低)기술 제조업은 수요가 감소할 수밖에 없어 원활한 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보건·복지업 등은 수요 증대에 맞춰 공급 능력과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면 제조업에서 국내 수요가 대폭 감소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해외시장 개척 등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한국은행은 2일 발표한 ‘인구 고령화에 따른 한국 산업구조 변화’에서 “인구구조 변화는 주요 산업별 생산성과 부가가치 지형도를 바꿔놓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제조업 의존도가 큰 한국 경제의 체질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다. 1970~201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7개 회원국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고 한국의 장래인구추계를 분석한 결과다.
2009년 기준 한국의 제조업 비중은 28.08%로 OECD 평균(16.05%)을 크게 웃돈다. 이에 비해 서비스업 비중은 60.34%로 OECD 평균(70.93%)보다 10%포인트 정도 낮다.
한은은 앞으로 고령층이 많아지면 의류 등 상품 수요가 줄어드는 반면 의료·보건 등의 소비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런 변화는 산업 구조에도 영향을 미쳐 제조업에서 섬유·가죽업, 전기·전자업 고용이 줄고 음식료업과 기계·장비업, 화학제품업 고용은 늘 것으로 분석됐다. 서비스업 중 보건·복지업은 고용이 대폭 늘지만 도·소매업과 교육업은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제조업 중에서 고령화로 생산성이 하락할 업종으로는 화학제품업, 음식료업, 수송기계업이 꼽혔다. 서비스업 중 공공행정업, 금융·보험업, 운수·보관업의 생산성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산업구조 변화의 대응 방안으로 구조조정과 해외시장 개척을 제시했다. 강종구 한은 국장은 “저(低)기술 제조업은 수요가 감소할 수밖에 없어 원활한 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보건·복지업 등은 수요 증대에 맞춰 공급 능력과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면 제조업에서 국내 수요가 대폭 감소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해외시장 개척 등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