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재판의 핵심 쟁점 중 하나는 이 부회장의 경영권 지배력을 어떻게 볼지 여부다.

특검은 이 부회장의 경영 지배력을 높이기 위해 삼성이 그룹 차원에서 여러 가지 시도를 했다고 보고 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이 대표적인 사례다. 하지만 삼성 측은 이미 이 부회장으로의 경영권 승계가 사실상 마무리됐다고 반박한다. 양사 합병이 완료되더라도 이 부회장의 지분은 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부회장)은 2일 공판에서 “이 부회장이 보유한 삼성 계열사 지분이 많고 적음과 경영권 승계는 별개 문제”라며 “이미 국내외에서 이 부회장이 후계자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이 부회장이 승계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이 부회장이 이건희 회장의 외아들인 데다 이미 계열사 지분을 이 부회장과 그의 여동생들이 3 대 1 대 1로 나눴기 때문에 분쟁이 일어날 소지도 없다는 것이다.

최 전 부회장은 “삼성은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해 위법 행위를 할 이유가 전혀 없다”며 “박근혜 정부 내에 경영권 승계가 이뤄져야 한다는 세간의 이야기는 아직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과거 이건희 회장도 지분에 관계없이 그룹 사장단과 원로들의 추대로 경영권을 이어받았다.

최 전 부회장은 또 “이 회장이 쓰러지고 나서 이 부회장에게 회장직을 승계하라고 수차례 건의했지만 이 부회장이 고사했다”는 일화도 전했다. 이 부회장이 경영권 승계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는 의미다.

그룹 컨트롤타워이던 미래전략실 참모들과 이 부회장의 관계도 재판의 주요 쟁점이었다. 이 부회장이 미래전략실 참모들로부터 통상적인 보고를 받고 지시했을 것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법정에 출두한 주요 피고인은 모두 “삼성그룹의 의사결정 구조를 잘 알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 오해”라고 입을 모았다.

최 전 부회장은 “나는 이 회장이 임명한 미래전략실장으로, 이 회장을 대리해 삼성그룹 전체 경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책임진다”며 “이 부회장으로부터 주요 현안에 대한 지시를 받거나 보고를 하는 관계라고 말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부회장도 특검 조서에서 “미래전략실은 이 회장을 보좌하는 조직이지 나를 보좌하는 조직이 아니다. 나는 미래전략실 소속도 아니다”고 말했다.

좌동욱/고윤상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