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2분기 사상 최대 실적…"부가매출로 비수기 넘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애경그룹 계열의 저비용항공사 제주항공이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항공업계 전통적 비수기인 2분기에 제주항공은 여객매출과 함께 부가매출 확보에 힘 쓴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1708/01.14432209.1.jpg)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은 40.7%, 영업이익은 2448.0% 증가한 것이다. 제주항공은 이로써 12분기 연속 영업이익을 실현했다.
지난 1분기 분기 기준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했던 제주항공은 올 2분기에도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올 상반기 매출액 4682억원, 영업이익 43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은 39.7%, 영업이익은 167.6% 증가한 것이다. 영업이익률은 9.3%를 기록했다.
2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처음으로 매출액 2000억원을 넘어섰고, 상반기 기준으로도 처음으로 4000억원대에 진입했다.
항공업계 전통적 비수기에 해당하는 2분기이지만 수익구조 다변화를 위한 노력이 결실을 맺으며 안정적인 성장기조를 유지할 수 있었다는 게 제주항공의 설명이다.
제주항공의 지난 2분기 전략은 분기별 이익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 수익구조 확보를 위한 부가매출 확대에 집중함으로써 비수기 영업이익을 확보했다.
실제 지난해 2분기에도 대부분의 국적항공사가 적자를 면치 못했을 때 제주항공은 손익분기점을 넘어섰다.
상대적으로 항공수요가 적은 2분기와 4분기에 항공권 가격을 낮춰 탑승률을 높이고 이익률이 높은 부가매출을 높이는데 집중하는 전략을 썼다.
또 겨울과 여름 성수기로 분류되는 1분기와 3분기에는 부가매출보다는 여객매출에 집중하는 분기별 사업전략을 가동함으로써 분기별 이익 변동성을 최소화했다.
제주항공은 이 같은 여객매출 중심의 전통적인 항공사업 모델에서 벗어나 부가매출 등 새로운 수익모델을 확립하고 ▲사드 등 외부변수에 즉각적이고 유연한 노선 운용과 국제선 위주의 공급 확대 ▲단일기재로 기단규모가 확대되면서 다양한 노선전략이 가능해지며 항공기 가동률 향상 ▲규모의 경제 실현에 따른 정비비, 리스료 등 주요 고정비용 분산 등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