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년의 '스타 펀드' 화려한 부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운용 '코리아대표' 펀드 올해 20% 넘는 수익률
미래에셋 '디스커버리' 펀드도 올 들어 수익률 크게 개선
미래에셋 '디스커버리' 펀드도 올 들어 수익률 크게 개선
스타 펀드매니저의 잇따른 이직과 밀려드는 환매로 부진의 늪에 허덕였던 대형 자산운용사 간판 펀드들이 부활 조짐을 보이고 있다. 스타 펀드매니저의 개인 역량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꾸리던 방식에서 벗어나 자체 리서치팀의 모델포트폴리오(MP·펀드 운용 때 사고팔아야 할 종목을 회사 차원에서 선별해 놓은 가이드라인) 중심의 투자 시스템이 자리잡은 덕분이다.
◆20% 안팎 수익 낸 ‘간판 펀드’
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의 간판 펀드인 ‘코리아대표’ 펀드는 연초 이후 지난 3일까지 20.58% 수익률을 올렸다. 같은 기간 19.80% 오른 코스피지수보다 0.78%포인트 높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대표 펀드인 ‘미래에셋3억만들기좋은기업’과 ‘디스커버리’ 펀드 역시 20.47%와 18.72% 수익률로 선전하고 있다. KB자산운용의 ‘그로스포커스’ 펀드도 오랜 부진을 딛고 올 들어 21.38% 수익률을 올렸다.
2007년 설정된 코리아대표 펀드는 2013년 설정액이 최대 1조5466억원에 달했다. 삼성자산운용의 액티브 펀드 가운데 설정액이 가장 컸다. 수익률도 2010년 이후 국내 펀드 상위 10% 안에 꾸준히 들었다. 하지만 펀드 운용을 맡은 남동준 텍톤투자자문 대표(당시 삼성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가 자문사 창업을 위해 회사를 그만둔 뒤 펀드 수익률이 2014년과 2015년 각각 -9.52%, -3.22%로 고꾸라졌다. 펀드 자금도 매년 2000억~3000억원 정도 빠져나갔다.
코리아대표 펀드의 반전은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신승훈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운용2팀장을 영입하고 특정 테마나 내수주에 쏠린 포트폴리오를 교체하면서 시작됐다. 신 팀장은 “경기가 확장 국면이라고 판단해 경기 변화에 민감한 정보기술(IT)주와 은행 등의 비중을 높인 전략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서재형 전 대신자산운용 대표와 박건영 브레인자산운용 대표 등의 손을 거치면서 2008년 펀드 설정액이 11조3308억원에 달했던 디스커버리와 미래에셋3억만들기좋은기업 펀드도 대형주 장세에서 다시 살아나고 있다. 상반기 현대미포조선 등 운용사의 ‘색채’가 반영된 종목을 발굴해 투자 비중을 높인 게 효과적이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디스커버리 펀드를 운용하는 조일웅 미래에셋자산운용 주식운용2본부 본부장은 “성장주와 가치주를 나누기보다 실적 성장세가 보이지만 주가가 싼 종목을 골라 투자하는 전략이 최근 장세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서치 보강 이후 수익률 반전
이들 펀드는 수익률 부진을 겪은 뒤 리서치(연구) 인력을 대폭 늘리고 회사 차원의 투자 전략을 전면 재수정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15년을 전후로 회사 차원의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시하고 이를 70% 이상 담도록 원칙을 정했다.
이를 위해 두 회사 모두 리서치 인력을 대폭 확충했다. 이전엔 회사 차원이 아니라 팀이나 개별 펀드매니저의 종목 선택이 주를 이뤘다. 모델포트폴리오를 도입한 지 2~3년이 지난 올해부터 조금씩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 팀장은 “자체 분석을 통해 시가총액 1~100위 기업인 대형주 비중을 85% 이상 가져가고 있다”며 “개별 테마 이슈에 따라 펀드 수익률이 출렁이지 않고 대형주 장세에서 꾸준히 수익을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20% 안팎 수익 낸 ‘간판 펀드’
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의 간판 펀드인 ‘코리아대표’ 펀드는 연초 이후 지난 3일까지 20.58% 수익률을 올렸다. 같은 기간 19.80% 오른 코스피지수보다 0.78%포인트 높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대표 펀드인 ‘미래에셋3억만들기좋은기업’과 ‘디스커버리’ 펀드 역시 20.47%와 18.72% 수익률로 선전하고 있다. KB자산운용의 ‘그로스포커스’ 펀드도 오랜 부진을 딛고 올 들어 21.38% 수익률을 올렸다.
2007년 설정된 코리아대표 펀드는 2013년 설정액이 최대 1조5466억원에 달했다. 삼성자산운용의 액티브 펀드 가운데 설정액이 가장 컸다. 수익률도 2010년 이후 국내 펀드 상위 10% 안에 꾸준히 들었다. 하지만 펀드 운용을 맡은 남동준 텍톤투자자문 대표(당시 삼성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가 자문사 창업을 위해 회사를 그만둔 뒤 펀드 수익률이 2014년과 2015년 각각 -9.52%, -3.22%로 고꾸라졌다. 펀드 자금도 매년 2000억~3000억원 정도 빠져나갔다.
코리아대표 펀드의 반전은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신승훈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운용2팀장을 영입하고 특정 테마나 내수주에 쏠린 포트폴리오를 교체하면서 시작됐다. 신 팀장은 “경기가 확장 국면이라고 판단해 경기 변화에 민감한 정보기술(IT)주와 은행 등의 비중을 높인 전략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서재형 전 대신자산운용 대표와 박건영 브레인자산운용 대표 등의 손을 거치면서 2008년 펀드 설정액이 11조3308억원에 달했던 디스커버리와 미래에셋3억만들기좋은기업 펀드도 대형주 장세에서 다시 살아나고 있다. 상반기 현대미포조선 등 운용사의 ‘색채’가 반영된 종목을 발굴해 투자 비중을 높인 게 효과적이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디스커버리 펀드를 운용하는 조일웅 미래에셋자산운용 주식운용2본부 본부장은 “성장주와 가치주를 나누기보다 실적 성장세가 보이지만 주가가 싼 종목을 골라 투자하는 전략이 최근 장세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서치 보강 이후 수익률 반전
이들 펀드는 수익률 부진을 겪은 뒤 리서치(연구) 인력을 대폭 늘리고 회사 차원의 투자 전략을 전면 재수정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15년을 전후로 회사 차원의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시하고 이를 70% 이상 담도록 원칙을 정했다.
이를 위해 두 회사 모두 리서치 인력을 대폭 확충했다. 이전엔 회사 차원이 아니라 팀이나 개별 펀드매니저의 종목 선택이 주를 이뤘다. 모델포트폴리오를 도입한 지 2~3년이 지난 올해부터 조금씩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 팀장은 “자체 분석을 통해 시가총액 1~100위 기업인 대형주 비중을 85% 이상 가져가고 있다”며 “개별 테마 이슈에 따라 펀드 수익률이 출렁이지 않고 대형주 장세에서 꾸준히 수익을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