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F서 北 외무상 핵·미사일 정당성 강변에 호응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르면 8∼9일께 의장성명…北미사일 도발에 강한 우려 담길듯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 대북제재 결의가 채택된 가운데, 7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에서는 '국제사회 대 북한'의 구도가 재확인됐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포함,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북핵 6자회담 당사국과 아세안 10개국 등 총 27개국이 참가한 이날 ARF에서는 지난달 2차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발사로 고조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마닐라 국제컨벤션센터(PICC)에서 열린 회의에서 27개 참가국 중 중간 정도의 순번으로 연설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유엔 안보리의 신규 대북제재 결의를 '조작'으로 폄훼한 뒤 "우리가 선택한 핵무력 강화의 길에서 단 한 치도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미국의 적대시 정책과 핵위협이 근원적으로 청산되지 않는 한 그 어떤 경우에도 핵과 탄도로켓을 협상탁에 올려놓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북측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러나 현장을 지켜본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리 외무상이 핵보유 이유를 장황하게 설명하는 동안 호응하는 반응은 거의 없었고, 이후 동조 발언도 나오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을 대신해 발언한 수전 손튼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 등은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의 철저한 이행을 촉구하면서 북한의 도발 중단과 비핵화 협상 재개를 유도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의 결과인 의장성명은 이르면 8∼9일께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정부 당국자는 전했다.
북한이 지난달 두 차례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도발을 계속하는 데 대한 강한 수위의 우려 표명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통들은 전망하고 있다.
ARF는 역내 정치·안보 문제를 논의할 목적으로 결성된 아세안(ASEAN)의 확대외무장관회의(PMC)를 모태로 1994년 출범했으며, 북한이 참여하는 유일한 역내 다자안보협의체이다. (마닐라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jhcho@yna.co.kr, jhcho@yna.co.kr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 대북제재 결의가 채택된 가운데, 7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에서는 '국제사회 대 북한'의 구도가 재확인됐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포함,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북핵 6자회담 당사국과 아세안 10개국 등 총 27개국이 참가한 이날 ARF에서는 지난달 2차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발사로 고조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마닐라 국제컨벤션센터(PICC)에서 열린 회의에서 27개 참가국 중 중간 정도의 순번으로 연설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유엔 안보리의 신규 대북제재 결의를 '조작'으로 폄훼한 뒤 "우리가 선택한 핵무력 강화의 길에서 단 한 치도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미국의 적대시 정책과 핵위협이 근원적으로 청산되지 않는 한 그 어떤 경우에도 핵과 탄도로켓을 협상탁에 올려놓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북측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러나 현장을 지켜본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리 외무상이 핵보유 이유를 장황하게 설명하는 동안 호응하는 반응은 거의 없었고, 이후 동조 발언도 나오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을 대신해 발언한 수전 손튼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 등은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의 철저한 이행을 촉구하면서 북한의 도발 중단과 비핵화 협상 재개를 유도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의 결과인 의장성명은 이르면 8∼9일께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정부 당국자는 전했다.
북한이 지난달 두 차례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도발을 계속하는 데 대한 강한 수위의 우려 표명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통들은 전망하고 있다.
ARF는 역내 정치·안보 문제를 논의할 목적으로 결성된 아세안(ASEAN)의 확대외무장관회의(PMC)를 모태로 1994년 출범했으며, 북한이 참여하는 유일한 역내 다자안보협의체이다. (마닐라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jhcho@yna.co.kr, jh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