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의 소프트웨어 전문 개발업체 이에스이(대표 박경식·사진)는 내년 2월 개막하는 평창동계올림픽 대회장에 구축한 통합관제시스템 ‘리노 플랫폼’의 수출을 강화한다고 9일 발표했다. 리노 플랫폼은 지리정보·시설관리·영상관리 시스템을 적용해 어느 한 도시의 방범과 교통, 재난, 전력 시설 등을 관제센터에서 폐쇄회로TV(CCTV)를 보며 지휘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통합관제시스템이다.

이 회사는 기술력을 인정받아 이달 말 중국 허베이성 탕산시와 25억원 규모의 리노 플랫폼 수출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지난 5월 중국 톈진시(30억원 규모) 계약에 이어 두 번째다. 박경식 대표는 “리노 플랫폼을 평창동계올림픽 대회장에 구축하면서 기술력을 해외에서도 인정받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1998년 창업한 이 회사는 그동안 관공서에서 용역을 받아 교통, 재난 등의 개별 관제시스템을 개발해 납품해왔다. 개별 관제시스템을 하나로 묶은 리노 플랫폼은 2014년 개발을 시작해 지난해 9월 완료했다. 유비쿼터스 통합관제시스템 등 20여 개 특허도 획득했다.

이 회사는 지난달 경기 군포시와 화성시에도 리노 플랫폼을 구축했다. 올림픽 참가 선수의 안전과 시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평창동계올림픽 대회장에도 지난 4일 구축을 마쳤다. 박 대표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사업이 정부의 9대 성장동력사업으로 선정되면서 리노 플랫폼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시티를 구현할 수 있는 기본 시스템이 리노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이 회사에는 리노 플랫폼 시연을 보려는 해외 관계자들이 매달 6개 팀 이상 방문한다. 11일에는 인도네시아 관계자들이 방문할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올 연말까지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 일정이 꽉 차 있다”고 소개했다. 지난해 매출 72억원을 올린 이 회사는 올해 수출 확대로 약 130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내년 2월까지 30여 명을 신규 채용한다.

박 대표는 “리노 플랫폼 시연을 보기 위해 회사를 방문한 일본 덴마크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등 19개국 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해 해외 시장을 공략해 나겠다”고 말했다.

성남=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