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로 보답하고 싶은데…황우석 사태에 발목잡힌 박기영 본부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황우석 전폭 지원 앞장서…본인은 논문 무임승차·연구비 수령
11년 반만에 뒤늦게 "책임 통감하며 사죄"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임명 논란의 핵심은 그가 세계 과학 역사상 최악의 연구부정행위 사건 중 하나인 '황우석 사태'에 깊이 연루된 인물이라는 점이다.
황우석 논문조작 사건은 2005년 말과 2006년 초에 걸쳐 전모가 드러났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는 인간 체세포복제 줄기세포를 만들었다는 논문 2편을 2004년과 2005년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실제로는 데이터와 실험 결과가 위조·날조된 것이었다.
이런 사실은 MBC PD수첩 취재팀과 젊은 과학자들의 의혹 제기에 이은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진상조사로 밝혀졌다. 황우석 사태의 주요 인물 중 하나가 2004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노무현 당시 대통령의 정보과학기술보좌관으로 재직한 박 본부장이다.
그는 논문조작이 드러나기 전까지 당시 황우석 전 교수가 노무현 정부로부터 파격적이고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데 큰 역할을 했고, 의혹 폭로 초기인 2005년 11월 말에는 생명윤리 위반 의혹을 반박하는 보건복지부의 발표 과정에도 관여했다.
이에 앞서 박 본부장은 1992년 순천대 교수로 임용된 후 2002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을 지내 국정과제 입안과 추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과학기술 분야의 '실세'로 떠올랐다.
그는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으로 임명된 후 황 전 교수가 2004년 낸 사이언스 논문에 공저자로 이름을 올렸으나, 진상조사 결과 연구에 기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명백히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하는 사례였으나, 박 본부장은 보좌관직에서 물러났을 뿐 순천대로부터 징계를 받지 않고 교수로 복직했다.
또 1년도 되지 않은 2006년 12월에는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으로 '컴백'도 했다.
이는 당시 공저자였던 서울대·한양대 교수들 전원이 학교 당국으로부터 연구부정행위나 연구비 관리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중징계와 권고사직 등 제재를 받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박 본부장은 또 2001∼2004년 황 전 교수로부터 전공과 무관한 연구과제 2개를 위탁받으면서 정부지원금 2억5천만 원을 받았으며, 2006년 초 검찰 수사에서는 최종 연구개발보고서를 제때 제출하지 않고 일부 연구비를 절차상 부적절하게 집행한 사실이 드러났다.
다만 사법처리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이런 행적 때문에 박 본부장은 7일 임명 발표 직후부터 과학기술인단체·시민단체들과 자유한국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당으로부터 거센 사퇴 압력을 받아 왔다.
정책 결정자로서 판단력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여 없이 논문 공저자로 '무임승차'를 하고 연구비 관리 문제도 일으킨 인물이 과학기술 R&D 예산 20조원을 주무르는 차관급 과기혁신본부장을 맡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비판자들의 지적이다.
과기혁신본부는 국가 R&D 사업에 대한 예산 심의·조정 권한을 행사하고 연구성과를 평가하는 과학기술 정책 집행 컨트롤타워다.
박 본부장은 11년 반이 넘도록 황우석 사태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성과 사과를 하지 않다가, 본부장에 임명된 지 사흘만인 10일에야 "청와대에서 과학기술을 총괄한 사람으로서 전적으로 책임을 통감하면서 이 자리를 빌려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또 "사이언스 논문에 공동저자로 들어간 것은 제가 신중하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때 좀 더 신중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한 점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그러나 "일할 기회를 주신다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으며 일로써 보답하고 싶다"며 사퇴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solatido@yna.co.kr
11년 반만에 뒤늦게 "책임 통감하며 사죄"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임명 논란의 핵심은 그가 세계 과학 역사상 최악의 연구부정행위 사건 중 하나인 '황우석 사태'에 깊이 연루된 인물이라는 점이다.
황우석 논문조작 사건은 2005년 말과 2006년 초에 걸쳐 전모가 드러났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는 인간 체세포복제 줄기세포를 만들었다는 논문 2편을 2004년과 2005년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실제로는 데이터와 실험 결과가 위조·날조된 것이었다.
이런 사실은 MBC PD수첩 취재팀과 젊은 과학자들의 의혹 제기에 이은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진상조사로 밝혀졌다. 황우석 사태의 주요 인물 중 하나가 2004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노무현 당시 대통령의 정보과학기술보좌관으로 재직한 박 본부장이다.
그는 논문조작이 드러나기 전까지 당시 황우석 전 교수가 노무현 정부로부터 파격적이고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데 큰 역할을 했고, 의혹 폭로 초기인 2005년 11월 말에는 생명윤리 위반 의혹을 반박하는 보건복지부의 발표 과정에도 관여했다.
이에 앞서 박 본부장은 1992년 순천대 교수로 임용된 후 2002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을 지내 국정과제 입안과 추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과학기술 분야의 '실세'로 떠올랐다.
그는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으로 임명된 후 황 전 교수가 2004년 낸 사이언스 논문에 공저자로 이름을 올렸으나, 진상조사 결과 연구에 기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명백히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하는 사례였으나, 박 본부장은 보좌관직에서 물러났을 뿐 순천대로부터 징계를 받지 않고 교수로 복직했다.
또 1년도 되지 않은 2006년 12월에는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으로 '컴백'도 했다.
이는 당시 공저자였던 서울대·한양대 교수들 전원이 학교 당국으로부터 연구부정행위나 연구비 관리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중징계와 권고사직 등 제재를 받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박 본부장은 또 2001∼2004년 황 전 교수로부터 전공과 무관한 연구과제 2개를 위탁받으면서 정부지원금 2억5천만 원을 받았으며, 2006년 초 검찰 수사에서는 최종 연구개발보고서를 제때 제출하지 않고 일부 연구비를 절차상 부적절하게 집행한 사실이 드러났다.
다만 사법처리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이런 행적 때문에 박 본부장은 7일 임명 발표 직후부터 과학기술인단체·시민단체들과 자유한국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당으로부터 거센 사퇴 압력을 받아 왔다.
정책 결정자로서 판단력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여 없이 논문 공저자로 '무임승차'를 하고 연구비 관리 문제도 일으킨 인물이 과학기술 R&D 예산 20조원을 주무르는 차관급 과기혁신본부장을 맡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비판자들의 지적이다.
과기혁신본부는 국가 R&D 사업에 대한 예산 심의·조정 권한을 행사하고 연구성과를 평가하는 과학기술 정책 집행 컨트롤타워다.
박 본부장은 11년 반이 넘도록 황우석 사태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성과 사과를 하지 않다가, 본부장에 임명된 지 사흘만인 10일에야 "청와대에서 과학기술을 총괄한 사람으로서 전적으로 책임을 통감하면서 이 자리를 빌려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또 "사이언스 논문에 공동저자로 들어간 것은 제가 신중하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때 좀 더 신중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한 점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그러나 "일할 기회를 주신다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으며 일로써 보답하고 싶다"며 사퇴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solatid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