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제품 끌고 반도체 밀고…8월 수출 28% 늘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개월 연속 '증가 행진' 기대
다른 주력업종은 여전히 부진
다른 주력업종은 여전히 부진
수출이 8월 들어서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도체와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늘어난 덕분이다. 하지만 8월 열흘간의 실적인 데다 최근 수출 증가율이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둔화되는 추세여서 호조세가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관세청은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2% 늘어난 124억달러로 집계됐다고 11일 발표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작년과 같았다.
수출은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올 들어서는 1월부터 7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8월에도 이런 기세가 이어지면 2011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10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행진 기록을 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품목별로는 석유제품이 76.6%, 반도체가 52.9% 늘며 수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선박도 12.1% 증가했다. 다만 무선통신기기는 17.2% 감소했다. 석유제품 수출이 이달 들어 큰 폭으로 늘긴 했으나 전반적으로 반도체를 제외한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등 나머지 주력 업종의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국가별로는 대(對)미국 수출이 45.8% 늘었고, 베트남(41.7%), 유럽연합(21.6%), 중국(19.7%), 일본(15.8%) 등 주요국으로의 수출이 대부분 증가했다.
수입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5% 증가한 140억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무역수지는 16억달러 적자로 전년(-25억달러)보다 적자폭이 10억달러가량 줄었다.
원유가 27.5%, 기계류는 24.4% 수입이 증가했으며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도 23.4% 늘었다. 미국(38.9%)과 중국(13.6%) 등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한 반면 대만(-5.3%)과 호주(-2.1%) 등은 감소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관세청은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2% 늘어난 124억달러로 집계됐다고 11일 발표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작년과 같았다.
수출은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올 들어서는 1월부터 7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8월에도 이런 기세가 이어지면 2011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10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행진 기록을 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품목별로는 석유제품이 76.6%, 반도체가 52.9% 늘며 수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선박도 12.1% 증가했다. 다만 무선통신기기는 17.2% 감소했다. 석유제품 수출이 이달 들어 큰 폭으로 늘긴 했으나 전반적으로 반도체를 제외한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등 나머지 주력 업종의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국가별로는 대(對)미국 수출이 45.8% 늘었고, 베트남(41.7%), 유럽연합(21.6%), 중국(19.7%), 일본(15.8%) 등 주요국으로의 수출이 대부분 증가했다.
수입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5% 증가한 140억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무역수지는 16억달러 적자로 전년(-25억달러)보다 적자폭이 10억달러가량 줄었다.
원유가 27.5%, 기계류는 24.4% 수입이 증가했으며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도 23.4% 늘었다. 미국(38.9%)과 중국(13.6%) 등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한 반면 대만(-5.3%)과 호주(-2.1%) 등은 감소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