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계 농가에 대한 당국의 전수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살충제 계란' 검출이 얼마나 늘어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7일 오전까지 총 66개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으며, 이 가운데 32곳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친환경 농가에서도 무더기로 검출되고 있어 전수조사를 마치면 '살충제 계란' 농가 규모는 더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조사는 대규모 농가부터 이뤄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관리가 취약한 소규모 농가에서는 금지된 살충제가 더 많이 사용됐을 수 있다.

실제로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17일 "1차 조사 대상이었던 대규모 농가에서는 기준을 위반한 곳이 6곳이었지만 소규모 농가까지 포함한 2차 조사에서는 훨씬 많은 수의 농가가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부실 조사' 논란도 변수다.

정부는 17일까지 전국 1천239곳의 산란계 농장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조사 자체가 부실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조사 담당자가 직접 농장을 방문해 샘플을 검사한 게 아니라 농장주들에게 계란을 특정 장소에 모아두게 하고 이를 가져가 검사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당국도 표본에 문제가 있는 일부 농가에 대해 재검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현안보고에서 부실 조사 지적에 대해 "일부 조사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이 발견됐다"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문제 이후에 농장주들이 출입을 불허하는 경우가 있었고 일부 표본 수집 과정이 문제가 될 수 있어서 재검사를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재검사를 통해 기존에 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에서도 추가로 피프로닐 등 살충제 성분이 검출될 수 있다.

현재 부적합 판정을 받은 산란계 농가는 전국 곳곳에 퍼져 있는 상황이다.

남은 조사를 통해 이번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이 추가로 검출될 가능성도 있다.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double@yna.co.kr